논문 상세보기

시각장애학생의 일상생활능력과 인지능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Activities of daily of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9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시각장애학생의 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인지능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 특수학교를 다니고 있는 15-22세 사이의 시각장애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일상생활활동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FIM을 사용하였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K-IADL을 사용하였으며, 인지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NCSE를 사용하였다. 성별에 따른 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장애등급에 따른 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성별에 따라 일상생활활동 수행력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수행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장애등급에 따라서는 인지 능력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성별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력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력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독립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장애등급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지능력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장애등급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ared with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Methods : FIM was used to assess the subjects’ performance of daily life, K-IADL was used to assess their performance of instrumental of daily life and NCSE was used to examine their cognitive function. For data processing associated with sex and disability grade, t-test was used for significant test by the performance of daily life by sex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for significant test by the performance by disability grade.
Results : ADL and IAD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sex group and cognitive fun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disability grade.
Conclusion : As a result, Performance ability of ADL and IADL were more independent in the female students than males. theres a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ability grade. female students has shown higher cognitive function in this stud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절차
  2. 측정 도구
  3. 자료 분석
 III.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성별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비교
  3. 성별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비교
  4. 성별에 따른 인지능력 비교
  5. 장애등급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비교
  6. 장애등급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비교
  7. 장애등급에 따른 인지능력비교
  8. 시각장애학생의 K-IADL FIM, NCSE의상관관계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정자(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Jung-J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Wellbeing, Howon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