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취목표성향의 예측변인으로서 체육 능력의 암묵적 이론 탐색 KCI 등재

The implicit theory of ability as an antecedent variabl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0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성취목표의 선행변인으로서 Dweck이 제안한 능력의 암묵적 이론(implicit theory)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해보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Dweck(1986, 1991, 1996)은 성취목표성향 이면에는 능력이 노력을 통해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믿는지(향상믿음, incremental belief), 변화할 수 없는 믿음(고정믿음, entity belief)을 갖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수업장면에서 이 가정의 타당성을 검증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278명을 선정하였으며, 조사 도구로는 성취목표성향 척도와 능력의 암묵적 이론, 그리고 체육성적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능력의 암묵적 이론과 성취목표성향과의 관계에서는 향상믿음을 가질수록 학습목표를, 고정믿음을 가질수록 수행-회피목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능력의 암묵적 이론과 체육성적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성취목표성향과 체육성적과의 관계에서는 학습목표와 수행-접근 목표 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수행-회피목표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학습목표와 수행-접근목표를 가질수록 높은 체육성적을 받았으며, 수행-회피목표는 낮은 체육성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licit theory of ability as an antecedent variabl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Hong, Jun-Hee (Kookmin Universit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mplicit theory of ability(intelligence) supposed by Dweck as the antecedent variabl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respectively), in a sample of 278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Given that the achievement goals that students adopt in the classroom have important educational consequences,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ntecedents of such goals(Pintrich & Schunk, 2002). According to Dweck(1986, 1991, 1996), some student hold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intelligence is a malleable and increasable quality), While others hold entity beliefs(intelligence is a fixed and uncontrollable trait). In Dweck's model, students who believe intelligence is fixed are likely to adopt mastery goals, while students who believe intelligence is fixed are likely to adopt performance goals, a pattern seemingly confirmed by Dweck's empirical work on children. In this study,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of Dweck. and data suggested that mastery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core of physical education, while performance-avoidance goal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core of physical education. Thi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cept of their gen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other variables with respect of antecedents variab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저자
  • 홍준희(국민대학교) | Jun Hee Ho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