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 성취목표 증진을 위한 TARGET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KCI 등재

The effect of TARGET program for ahievement goal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2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체육교육 상황에서 성취목표 이론은 숙련지향적 분위기가 수업에 대한 동기와 성취행동을 증진시킨다고 예상한다. TARGET 구조(과제, 권위, 인정, 집단, 평가, 시간)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분위기를 조성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숙련 및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육수업 현장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성취목표 이론과 실제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40명의 중학교 남녀 학생들은 15차에 걸쳐 숙련(n=72)과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n=68)으로 구성된 체육수업(농구)에 각각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목표성향, 수업분위기, 내적동기, 농구수행은 수업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일련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의 예상을 지지해 주고 있다. 수행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숙련 프로그램을 시행한 집단의 학생들이 더욱 유의한 숙련분위기 수준의 증진을 가져왔으며, 내적동기(흥미, 유능감)와 농구수행 역시 증가되었다. TARGET 프로그램의 효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적 면접을 시행한 결과 숙련 프로그램 집단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그들의 체육수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이 체육교육의 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ARGET program on motivational-behavioral correlates in a junior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setting. TARGET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task, authority, recognition , grouping, evaluation, and time. One hundred forty male and female students wa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programs for 5 week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ifteen 45-min basketball lessons): the mastery program class (n = 72) and the performance program class (n = 68). Pre- and post intervention measures of goal orientation, motivational climate, intrinsic motivation(enjoyment-effort, competence, tension), and basketball performance were obtained for both groups. Repeated-measures ANOVAs showed that students in mastery program reported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motivational climate, competence, and basketball performance. In-depth interviews further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mastery program were almost unanimous in reporting positive perceptions for their classes after the program finished, while those from the performance program showed negative perceptions for their class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achievement goal theory and the effect of TARGET program in physical education.

저자
  • 유진(중앙대학교) | Jin Yoo
  • 강필중(중앙대학교) | Pil Joung K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