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수 유도선수의 상담 및 심리훈련의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Sport Psychology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f Elite Judo Athle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27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도 경기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수들의 심리기술을 선정하고 이를 훈련을 통하여 최대한 향상시키고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심리지원은 교육적 접근에 입각한 심리기술 훈련을 실시하였다. 우선 현재 실업 유도팀에서 활동하고 있는 11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개별상담과 집단상담 및 처치 과정을 통하여 선수들에게 부족하거나 관심있는 심리적 요인을 자각시킨 후 10주간의 심리훈련이 시행되었다. 선수들이 자각한 중요도와 현재 상태를 평가한 결과 심리훈련의 필요성을 확연하였다. 8주의 심리훈련 결과 정신적 시연이 가장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다음으로 자아조절, 긍정적 사고조절, 집중력 훈련, 이완, 스트레스, 에너지 조절 훈련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으로 활용에서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psychological skills that affect players in the competition and to develop the skills greatly through training in order to use them in the field. In psychological support,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is operated in terms of educational approach. First of all, we operat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and training process on 11 players who play for a business judo team. We try to let the players notice what kind of psychological factors they need and they are interested in, then we run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for 10 weeks. It shows clearly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considering the importance that the players realize and the evaluation of their present state. As a result of 8-week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metal visualization is most helpful and then self-management, positive thinking, concentration training, relaxation, stress, and energy management in order.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training will be helpful in a future performance.

저자
  • 장덕선(체육과학연구원) | Duk Sun Ch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