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구기운동선수의 운동탈진척도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Players of the Athletic Burnout Sc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28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Raedeke와 Smith(2001)가 수영선수를 대상으로 개발한 운동탈진척도(Athletic Burnout Scale)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구기 운동선수의 운동탈진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척도의 번역-재번역절차 및 일반적인 척도개발 절차를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점검하는 다단계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절차는 (1) 운동탈진척도의 한국어판 및 예비판의 작성, (2) 예비번역본을 토대로 완성된 번역본의 신뢰도 분석, (3)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 동안 이루어졌다. 즉, 제33회와 34회 소년체전에 참가한 초등학교 구기운동종목 선수 512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분석과 요인분석(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를 통하여 3요인 14문항으로 구성된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본 척도는 내적 일관성이(cronbach's α)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정된 요인은 첫째, 신체적/정서적 피로, 둘째, 운동에 대한 가치감소, 셋째, 운동기능의 저하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thletic burnout scale designed to measur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players settings. This study based on Raedeke & Smith's ABS(Athletic Burnout Scale)).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translation in order to reflect cross-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 Data are obtained from a sample of 512 elementary school players who were participated 33th and 34th festival youth sports competition as players represented their province.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supported the final 3-factors 14-items elementary school players of the ABS. Internal consistency of elementary school players of the ABS were acceptable. The subfactors were physical/emotional exhaustion, athletic devaluation, and reduced sense of athletic accomplishment.

저자
  • 김인수(광주교육대학교) | In Soo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