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우암소 비육시 고 에너지 육성용 TMR 급여수준이 사양성적, 도체특성 및 경제성 분석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Feeding Level of High Energy-TMR for Growing Phase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Analysis in Fattening of Hanwoo Heif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3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한우 암소비육에 있어서 고 에너지의 육성용 TMR(TDN 72.7%DM, CP 13.65%DM)을 육성기(8~12개월령) 및 비육기(13~24개월령)까지는 제한급여하고, 이후 비육 마무리기(25~32개월령)까지 자유 채식시켰을 때, 증체수준,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축은 한우 암소 35두(8개월령)를 이용하여 Control구(5두), T1(10두), T2(10두) 및 T3(10두)구로 나누어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공시사료는 전기간 동일한 육성용 TMR을 Control구에서는 자유채식 시켰고, T1, T2, T3구에서는 각각 체중의 1.8%, 1.6% 및 1.5%로 제한하여 24개월령까지 급여하였다. 한우 암소의 체중은 비육마무리기간에서 Control구에 비해 T1, T2 및 T3 처리구가 각각 4.9%, 3.6% 및 2.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일일증체량은 육성기에는 Control구와 T1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p<0.05), 비육마무리기의 T1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p<0.05). 건물섭취량과 TDN 섭취량은 비육마무리기간에서 T1구가 가장 높았다(p<0.05). 고 에너지의 육성우용 TMR을 전 기간동안 급여함으로써 도체중과 배최장근 단면적이 일반적인 한우 암소비육 결과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처리구별 도체중은 Control구에 비해 T1구가 약 11.6% 많았으며(p<0.05), 지방색과 성숙도는 Control구에서 높았다(p<0.05). 근내지방도, 육색 및 조직감은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육량등급 출현율에 있어서는 Control구에서 A등급이 60%로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육질등급에서 1++ 등급 출현율은 Control, T1, T2 및 T3구에서 각각 0%, 20%, 20% 및 0%로 나타났다. 순수익은 Control구에 비해 T1과 T2구가 각각 15% 및 13% 증가되었으나 T3구는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우 미경산우 비육 시, 고에너지의 육성용 사료를 육성기부터 비육기(13~24개월령)까지 체중의 1.8% 수준으로 제한 급여하는 것이 전 기간 동안 자유채식시키는 것보다 도체중이나 육질등급 증가로 경제성이 향상되어 한우암소 고급육생산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level of high energy-TMR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analysis in fattening Hanwoo heifers. Thirty-five Hanwoo heifers(8-month-old) were allotted to four groups b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and fed TMR feed by ad libitum(Control), 1.8%(T1), 1.6%(T2) and 1.5%(T3) of BW to 24 month of age. During the finishing periods(25-32 months) BW of Hanwoo heifer were 4.9%, 3.6% and 2.5% higher in the T1, T2 and T3 groups than Control group, respectively(p<0.05). DM and TDN intake for finishing perio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1 group compared with others(p<0.05). For the yield traits, carcass weight of T1 group was 11.6% higher than Control group(p<0.05). Feeding of high energy-TMR for growing phase throughout the whole period resulted in increasing the carcass weight and eye muscle area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results of Hanwoo heifers. The maturity and yield grade were higher in Control group(p<0.05). The appearance rate(%) of yield grade more than A was greater at Control group than other groups. However, appearance rate(%) of meat quality grade more than 1++was greater at T1, T2 group than other groups. The net profits increased by 15% and 13% in T1 and T2 group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when the high energy-TMR for growing phase is used for fattening of Hanwoo heifers, it is recommendable to restrict by 1.8% of BW to 24 month of age, and thereafter ad libitum for the finishing period.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feeding program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meat in fattening of Hanwoo heifer.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2 공시사료 및 사양관리
  3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
  4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체중변화
  2 영양소 섭취량
  3 도체성적
  4 경제성분석
 References
저자
  • 조웅기(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Woong-Ki Cho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21 progra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장선식(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 Sun-Sik Chang (Hanwoo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현정(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Hyun-Jung Kim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 Biotechnology,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신자(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중점연구소)) | Shin-Ja Lee (Department of Animal Bio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 University-Centered Labs))
  • 이성실(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중점연구소)) | Sung-Sill Le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21 progra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nimal Bio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 University-Centered Labs))
  • 문여황(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Yea-Hwang Moo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 Biotechnology,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