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 상황에서 기본적 욕구, 동기 유형 및 심리적 웰빙간의 관계모형 검증 KCI 등재

The Relationships among Basic Needs, Motivational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tex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3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기본적 욕구, 동기 유형 및 심리적 웰빙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기본적 욕구가 동기 유형에 미치는 상이한 효과, 동기 유형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상이한 효과, 기본적 욕구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정(+)의 효과를 규명하고, 기본적 욕구가 동기 유형을 경유하여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제주도내 4년제 종합대학교에 개설된 2005학년도 제1학기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하는 24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및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동기연속체의 단순상관구조를 입증하였다. 또한 기본적 욕구는 동기 유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동기 유형은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기본적 욕구는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동기 유형를 경유하여 정(+)의 간접 효과를 유발하였다. 이어서 잠재 구인을 구성하고 있는 측정변인들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욕구는 동기 유형에 상이한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동기 유형은 심리적 웰빙 변인들에 상이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본적 욕구는 쾌락적 웰빙과 자아실현적 웰빙 모두에 정(+)의 직접 효과를 유발하였으며, 기본적 욕구가 동기 유형을 경유하여 심리적 웰빙 변인들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쾌락적 웰빙에만 정(+)의 유의한 간접 효과를 유발하고 있었으며, 자아실현적 웰빙에는 미약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들은 자기결정성 이론의 개념적 틀을 근거로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basic needs, types of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tex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It was hypothesized that satisfaction of three basic needs would have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type of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also hypothesized that motivations would predic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 are also hypothesized that basic needs would have significantly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motivations. Participants were two hundred and forty-five students who enrolled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measures of basic needs satisfaction,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hedonic well-being, eudamonic well-being) and background inform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nee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The three basic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ould be triggered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both hedonic and eudamonic well-being).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had positively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basic needs also had significantly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motivational types.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저자
  • 김덕진(제주대학교) | Deok Jin Kim
  • 양명환(제주대학교) | Myung Hwan Y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