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ower Conditioner 이용 가을연맥 건초조제 가능성 구명 KCI 등재

Possibility of Hay Manufacture of Autumn Oat (Avena sativa L.) with Mower Condition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4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속성건조에 의한 가을연맥의 건초 조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조생계통인 Swan을 공시하여 8월 24일 파종한 다음, 건초 조제시기(수잉후기, 출수기, 개화기)와 건조방법(건조제, Conditioning, 건조제 + Conditioning 및 대조구)을 달리하여 1996년 가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화학제인 건조제는 $K_2CO_3$ 수식 이미지 2%를 수확 직전 기계 분무하였으며, 물리적인 Conditioning은 모델 GMR 2800 Mower Conditioner(trail type)를 사용하였고, 포장건조 후 각형 곤포를 조제하였으며, 건초의 건물손실과 외관평가는 2개월간 보관저장 후 조사하였다. 수잉후기, 출수기, 개화기로 수확이 늦어질수록 연맥의 건물수량은 증가하고 건물률은 높아진 반면 사료가치는 크게 낮아졌다. 건조속도는 건초 조제시기에 관계없이 5일간의 포장건조에도 불구하고 수분 함량이 높아 건초 조제 적기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개화기에서는 수분감소가 거의 없었다. 건조방법별 건조효과는 전반적으로 건조효과가 낮았으나 Conditioning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2일정도 포장 건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건조제 처리효과는 없었다. 건초의 건물손실은 수잉 후기에서 51.4%로 매우 높았으며, 출수기도 21.1%로 높았고, 건조방법별로는 Conditioning구와 건조제 + Conditioning 처리구에서 손실이 적은 경향이었다. 건초의 외관평가에서 수잉 후기로 조제시기가 빠를 때에는 수분 함량이 너무 높아 품질은 크게 불량하였으며, 출수기의 Conditioning구와 건조제 + Conditioning 처리구에서 80점으로 양호할 뿐 전반적으로 가을연맥 건초의 외관평점은 매우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포장에서의 건조기간 단축과 건초의 품질향상을 위한 건조제 처리효과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Conditioner 사용이 추천되었으나, 우리 나라에서 가을연맥의 건초 조제는 실용화하기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hemical and mechanical treatment at mowing on the field drying rate and hay quality of autumn oat (Avena sativa L.). The chemical drying agent/mower conditioner ($K_2CO_3$ 수식 이미지 2%, conditioning, $K_2CO_3$ 수식 이미지 2% + conditioning and control) were treated at different harvest stages (late boot, heading and bloom stage) for hastening hay manufacture in the autumn of 1996. After field dry, square bales were made by hay baler, and the dry matter(DM) loss and visual estimation of oat hay were evaluated after storing two months. In general, the field drying rate of oat was slow, regardless of harvest stage. Mechanical and chemical + mechanical treatment were effective, but the effectiveness of chemical alone was very low. With mower conditioning, the duration of field dry was shortened by 2 days compared with control. The DM loss of hay was higher at boot stage(51.4%) than at heading stage (21.1%), and the DM loss was reduced by mechanical and chemical + mechanical combined treatment. The visual score (leafiness, green color, odor and softness) of hay after storing was high in mechanical and chemical + mechanical, but the score by chemical alone was very low. The nutritive value (ADF, NDF, digestibility, and relative feed value) of hay was also high with treatment of mechanical and chemical + mechanical, but the quality by chemical alone was similar compared with control. In conclusion, mower conditioning can enhance the field drying rate of autumn oat, but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chemical drying agent was very low.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hay-making of oat in autumn is very hard though using mower conditioner.

저자
  • 정의수(축산기술연구소) | E. S. Chung
  • 서성(축산기술연구소) | S. Seo
  • 김종근(축산기술연구소) | J. G. Kim
  • 강우성(축산기술연구소) | W. S. Kang
  • 김원호(축산기술연구소) | W. H.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