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활동관찰이 태권도 앞차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on the Learning of Front Kick of Taekwon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6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관찰이 태권도의 앞차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운동기능학습의 촉진을 위한 활동관찰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여대생 40명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활동관찰, 신체연습, 활동관찰과 신체연습의 병행, 그리고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앞차기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피험자들은 집단별 훈련 방법에 따라 매일 20분씩 6일간 해당 집단에 배정된 연습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실험처치에 따른 과제수행능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연습-2일, 연습-4일, 그리고 연습-6일째에는 연습이 종료된 후 앞차기 수행 장면을 촬영하였다. 실험종료 1일 후에는 즉각적 사후검사를, 그리고 실험종료 1주일 후에는 지연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후, 태권도 공인 7단 이상의 전문가 3명이 각 측정시점에서의 수행장면을 녹화한 비디오테이프를 보면서 앞차기를 준비단계, 발차기-1단계, 발차기-2단계, 그리고 마무리단계별로 구분하여 채점하였다. 앞차기의 수행총점에 대한 분석 결과, 활동관찰집단은 즉각적 및 지연된 사후검사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활동관찰과 신체연습을 병행한 집단에 비해서는 활동관찰집단의 수행수준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활동관찰의 학습촉진효과는 단계별 점수에 대한 분석에서도 관찰되었으나, 수행총점과 달리 단계별 점수에 대한 활동관찰의 효과는 단계별 동작요소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발차기-1단계에서는 활동관찰집단이 즉각적 및 지연된 사후검사 모두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으나, 나머지 단계들에서는 지연된 검사에서만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다. 신체연습 및 병행집단 역시 모든 단계에 대한 즉각적 및 지연된 사후검사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병행집단은 활동관찰집단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활동관찰이 초보자의 태권도 앞차기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효과는 신체적 연습과 병행될 때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ction observation programs to motor skill learning by analyzing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on the learning of the front kick of Taekwondo. Forty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 subjects,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groups; control, action observation(AO), physical practice(PP), and simultaneous group which practiced AO and PP alternatively. After the pre-test of the front kick,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actice program assigned to each group for 6 days, 20 min a day.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kicking skill with experimental treatment, kicking activities of subjects were videotaped on the practice days of 2nd, 4th, and 6th.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1 day and 1 week after the practice session respectively. After the experiment was over, three Taekwondo professionals with 7th degree evaluated the videotaped performances of subjects by the kicking phases; preparatory, 1st-kicking, 2nd-kicking, and finish. Analysis of the total score for the front kick revealed that the AO group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both the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Compared to the simultaneous group, however,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AO group was lower. Although diffe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elements,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was also found in the analyses of the scores for each kicking phase. In the 1st-kicking phase, the AO group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both the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In other kicking phases, however, it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only in the delayed post-test. The PP and simultaneous groups were also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and, in particular, the simultaneous group was better than the AO group in the post-tests of all kicking ph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on observation can facilitate the learning of the front kick of Taekwondo, and its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physical practice.

저자
  • 이승언(계명대학교) | Seung Eon Lee
  • 박상범(계명대학교) | Sang Bum Par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