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effect of jumping activity on balance of deaf children after providing self-observation. As a process, we chose 20 deaf children and divided them by screening into two different groups self-observation group(10) and non self-observation group(10). We let them do jumping activity for 16 times after self-observation and checked the difference in the counterbalance as a group and as an individual. The self-observation group observed themselves before the test by watching five-minute long videotape of their proper and improper behaviors. After this, the self-observation group did warming-up exercises with non self-observation group and moved into their stages to do jumping activities for three to four times. Jumping activities consisted of six stations and were performed in outdoor stages. The static balance test(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d) and dynamic balance test(backward walking) were carried out three times before and after the inspection respectively and recorded in velocity of second unit(1/100). Top to the second record was used to get the average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rate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verage of ante-mortem inspection from that of post-mortem inspe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jumping activity with self-observa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test result of standing on one leg and its backward walking. We shoot a video of self-observation group activities on each station. The data of this research was handled by sub-program of SPSS. The improvement and difference of each group and individual balance were analyzed by t-inspection.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 First, from the improvement test as a group, we found out that both of the self-observation and non self-observation group showed similar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 static balance test. Speaking of the balance test, the self-observation group showed some differences while non self-observation group did not show. Second, from the improvement test of each individual in the group,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improvement statistically between the groups. After putting everything together, we understood that self-observation group had some improvement statistically in jumping activity with self-observation comparing with non-observation group in respective static and dynamic balance tests. This outcome can be interpreted that jumping activity with self-observation had a good influence on deaf children balancing ability of more than 70dB. It is expected that deaf children can develop their balancing ability by performing their jumping activity with self-observation.
        4,300원
        2.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물관찰중심의 원예활동이 취학 전 아동의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정서발달 평가 결과와 선택적 및 지속적 주의력은 대조집단의 경우 실시 전․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지만, 실험집단의 경우 P<0.05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자기통제력 변화에서는 대조집단의 경우 P<0.05로 유의하게 나빠졌으나 실험집단의 경우 유의차는 없었다. 원예치료평가표(KHY Type)에 의한 결과는 정서적 발달, 사회적 발달 등 모든 항목에서 P<0.05 수준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4.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상 성인과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관찰, 운동심상, 그리고 거울을 활용한 시각적 착시가 운동피질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신경생리적 측면에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정상 성인 10명, 만성 뇌졸중 환자 10명, 총 20명이 참여하여, 다섯 가지의 실험 조건(통제조건, 비활동조건, 활동조건, 심상조건, 거울조건)에서 오른손 엄지와 검지를 메트로놈 1 Hz 신호에 따라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도구는 경두개자기자극기, 자극 코일, 근전도 시스템, 거울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정상 성인과 뇌졸중 환자 모두 거울조건에서 운동유발전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성인의 경우에는 심상조건, 활동조건, 비활동조건 순으로 운동유발전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 환자의 경우 심상조건과 활동조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비활동조건에서 가장 낮은 운동유발전위가 발생하였다.
        5.
        200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관찰이 태권도의 앞차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운동기능학습의 촉진을 위한 활동관찰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여대생 40명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활동관찰, 신체연습, 활동관찰과 신체연습의 병행, 그리고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앞차기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피험자들은 집단별 훈련 방법에 따라 매일 20분씩 6일간 해당 집단에 배정된 연습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실험처치에 따른 과제수행능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연습-2일, 연습-4일, 그리고 연습-6일째에는 연습이 종료된 후 앞차기 수행 장면을 촬영하였다. 실험종료 1일 후에는 즉각적 사후검사를, 그리고 실험종료 1주일 후에는 지연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후, 태권도 공인 7단 이상의 전문가 3명이 각 측정시점에서의 수행장면을 녹화한 비디오테이프를 보면서 앞차기를 준비단계, 발차기-1단계, 발차기-2단계, 그리고 마무리단계별로 구분하여 채점하였다. 앞차기의 수행총점에 대한 분석 결과, 활동관찰집단은 즉각적 및 지연된 사후검사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활동관찰과 신체연습을 병행한 집단에 비해서는 활동관찰집단의 수행수준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활동관찰의 학습촉진효과는 단계별 점수에 대한 분석에서도 관찰되었으나, 수행총점과 달리 단계별 점수에 대한 활동관찰의 효과는 단계별 동작요소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발차기-1단계에서는 활동관찰집단이 즉각적 및 지연된 사후검사 모두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으나, 나머지 단계들에서는 지연된 검사에서만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다. 신체연습 및 병행집단 역시 모든 단계에 대한 즉각적 및 지연된 사후검사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병행집단은 활동관찰집단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활동관찰이 초보자의 태권도 앞차기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효과는 신체적 연습과 병행될 때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6.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신체활동과 집단상담을 통합적으로 수행한 보호관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의 심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활동과 집단상담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명령을 받고 있는 1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2주간의 집중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자아개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통한 양적연구 방법과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는 질문지는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질적 자료가 첨부되었으며, 또한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하여 새롭게 나온 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자아개념에 대한 심리검사 결과 신체적도덕적성격적가정적사회적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며(p<.05),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참 모습을 뒤돌아보며 멋진 자신을 그려보기도 하였다. 특히, 신체활동을 통하여 땀을 흘리면서 자신의 신체의 소중함을 느끼고 건강에 대한 생각을 다시금 하였다.집단상담을 진행한 상담심리 전문가와의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집단 응집력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집단상담 초기에 집단 응집력 형성이 매우 중요한다. 이는 상담자 그리고 또 다른 내담자들과의 신뢰관계가 형성되어 자기 노출하는데 거리낌 없어져서 상담진행이 더 빠르고 더 심도 깊게 되었다.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들의 범죄예방 및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