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한 주요 인프라 실태 예측에 의한 유지관리 수준 분석 및 평가 KCI 등재

Assessment and Analysis of Maintenance Level According to Actual Prediction on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8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최근 한반도는 동계올림픽 단일팀 참가,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협력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이고, 도로, 철도 등 남북 주요 인프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북한 시설물은 고령화, 노후화 및 유지관리 불량 등 시설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프라 개선 및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성능관점의 북한 유지관리 수준을 분석하고 남북 상호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 북한의 도로, 철도 등 국가기반시설과 전력 및 통신, 상하수도 등 생활기 반시설의 유지관리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에 대한 보수․보강 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과 성능에 대한 평가를 통해 남북 유지관리 수준의 격차를 줄이고, 향후 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fter the North-South Korean summit and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t is recently expected that the North-South economic cooperation plan will be discussed in earnest. And it will be growing interest of the major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roads and railways, and so on North-South Korean. Moreover, most of North Korean facilities have problems related to the safety and functionality of them such as aging, deterioration, and poor maintenance. This study assert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frastructure maintenance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ppeared that very vulnerable to road, railroad, power/communication, water sewage and needed urgently for improvem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whole facilities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and to evaluate on the maintenance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face to face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n.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연구 방법 및 기존 문헌 고찰
  2.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2 기존 문헌 고찰 및 시사점
 3. 북한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 분석 및 평가
  3.1 대상 시설물 선정 개요 및 기준
  3.2 설문조사 개요 및 특성
  3.3 북한 인프라 유지관리 참여 경험사례 조사
  3.4 북한 인프라 시설별 유지관리 수준 특성 및 비교
  3.5 북한 인프라 권역별 유지관리 수준 특성 및 비교
  3.6 북한 인프라 시설별 내용연수 특성 비교
 4. 남북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 특성 및 평가
  4.1 남한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 평가 및 비교
  4.2 남북 인프라 시설 유지관리 수준 비교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정석(한국시설안전공단 진단본부 건축생활시설실) | Jeong-Seok Le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Facility Safety, KISTEC)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