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싱선수의 스포츠대처전략과 성공지각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Athlete`s Perception of Success and Self-Este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8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이 연구는 복싱선수의 사회․문화적 배경 별 스포츠대처전략과 성공지각,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스포츠대처전략이 성공지각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국가대표 등의 우수선수와 중/고교(94명), 대학 및 실업선수(64명)로서 158명이다. 연구도구는 스포츠대처 척도, 성공지각 질문지,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단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보다 초연적 대처에서 높은 개념을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초연적 대처에 대한 개념이 대학 및 일반선수가 중학/고교선수보다 높았다. 자신의 수행노력 수준을 높게 인지한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정서중심적대처, 문제중심적대처의 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수준을 높게 인지한 선수가 낮은 선수보다 정서중심적대처, 문제중심적대처, 회피의 개념이 높았다. 자아존중감을 고수준으로 인지한 선수가 저수준의 선수보다 경쟁지향성과 과제지향성에 대해 높은 개념을 나타내었다. 생활에 대한 만족도 수준에 따른 대처전략은 정서중심적대처와 문제중심적대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쟁지향성, 과제지향성요인에서도 생활만족이 높을수록 더욱 큰 개념을 보였다. 운동생활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높을수록 문제중심적대처 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쟁지향성, 과제지향성요인에서도 운동생활만족이 높을수록 더욱 큰 개념을 보였다. 복싱선수의 정서중심적대처와 문제중심적대처 요인은 경쟁지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중심적대처 요인은 과제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복싱선수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설명변인은 문제중심적대처와 회피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athletic sport coping strategy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fathom the perception of success and self-esteem of athletics. Furthermore, this investigation dedicated to reveal how athletic sport coping strategy effected on athlete's perception of success and self-esteem.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58 athletes of national representative, junior and highschool(94), college, professional(64). In this study Athletic Sport Coping(KASCS), Perceptions of Success Questionnaire(POSQ), Self-Esteem Scale were mainly applied and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multivariate regression methods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high performance athletes showed higher level of detached coping than low performance. Also, this level differed based on the age, which professional athletes showed higher level than junior-high and high school athletes. The group which had higher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demonstrate higher level of emotional focused coping, problem focused coping. Moreover, the group which had higher self-esteem also showed higher level of emotional focused coping, problem focused coping and avoidance, yet they showed higher level of ego orientation and task orientation. Emotional focused coping and problem focused cop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as an athlete and in ego orientation and task orientation revealed similar results as well.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being athletes was high problem focused coping and ego orientation level go up as well. Furthermore, emotional focused coping and problem focused coping variables explained athletes' ego orientation and task orientation. And in predicting self-esteem variable, avoidance variables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저자
  • 김석일(중앙대학교) | Seok Il Kim 교신저자
  • 유진(중앙대학교) | Jin 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