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 동기와 참여수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타개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KCI 등재

Testing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y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38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동기와 제약타개전략 그리고 운동참여수준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제약타개전략이 운동동기와 참여수준간의 관계에 미치는 중재효과를 검증하였다. 레저스포츠 활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성인 남녀 450명을 대상으로 운동동기, 제약타개전략 및 운동참여수준에 대한 구조화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공변량구조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여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동기는 대인간 조정전략에 정(+)의 영향, 수동적 대처전략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확인적 조절동기는 시간관리 전략과 대인간 조정전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무동기는 시간관리전략, 대인간 조정전략 및 수동적 대처전략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운동 동기 중 확인적 조절동기만이 참여수준에 정(+)의 직접영향을 미쳤다. 셋째, 시간관리 전략은 참여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동적 대처전략은 참여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확인적 조절동기는 제약타개전략(시간관리전략, 대인간 조정전략)을 경유하여 참여수준에 유의한 정(+)의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도 제약타개전략들(시간관리전략, 대인간 조정전략, 수동적 대처전략)을 경유하여 참여수준에 유의한 부(-)의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약타개전략이 동기와 참여수준 간에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은 확인적 조절동기와 무동기에서 지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degree to which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y act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level of exercise among leisure sport participants. Forty hundred and fifty(n=450) leisure sport participants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measuring exercise motivation,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y, participation level of exercise, and demographical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showed that in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adjustment strategy and negative effect on passive coping strategy; identified regulation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ime management, interpersonal adjustment; amotivation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ime management,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assive coping strategy.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exercise participation. Time management strategy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xercise participation, and passive coping strategy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dentified regula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articipation level via time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strategy. Amotivation also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participation level via time management,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assive coping strategy. Consequently, the effect of motivation on particip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Ryan‘s(1995)contention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extrinsic regulation in exercise situation.

저자
  • 양명환(제주대학교) | Myung Hwan Y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