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운동행동지속을 위한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 효과검증 KCI 등재

The effect of Exercise Counseling Program in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s for Older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운동행동지속을 위한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노인복지관에서 생활체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심리상담 적용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 등 총 50명으로 구성하였다.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은 윤기운(2008)이 제안한 운동심리상담 모델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기초욕구평가, 심층적 평가, 목표구성 및 기초실행, 응용모델 실행, 결과 및 평가의 절차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성되었다.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상담 전후에 운동참여지속성, 운동결과기대, 운동만족을 측정하였고 SPSS 14.0과 AMOS 6.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운동심리상담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운동결과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운동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심리상담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운동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운동심리상담은 노인의 운동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placed on the application of an exercise counseling program for the exercise behavior continuance of older adult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A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 group of 50 members at the welfare centers for old adult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participating in the sport for all programs were divided into the application group of exercise counseling and a controlled group each constituted with 25 members. The exercise counseling program applied the exercise counseling program model that was suggested by Ki-woon Yoon (2008).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for the exercise counseling programs, the stages of change model, exercise participation adherence and the outcome expectations of before and after consultation was measured.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applied group of exercised counseling displayed higher outcome expectation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led group. Secondly, the counseled group displayed higher adherence of exercis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led group. Third, the counseled group displayed higher degree of exercise satisfac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led group. In conclusion, exercise counseling program appear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exercise adherence of older adult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4.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Ⅲ. 결 과
  1. 운동심리상담의 운동만족에 대한 효과 분석
  2. 운동심리상담의 운동지속성에 대한 효과 분석
  3. 운동심리상담의 운동결과기대에 대한 효과 분석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미량(서울대학교) | Kim, Mi-Lyang 교신저자
  • 이동현(성균관대학교) | Lee, Dong-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