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가 운동이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Yoga Exercise on Emotional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7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요가 운동이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J재활원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 16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을 연구대상(집단 간 동질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통한 Leven's 등분산의 동질성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으로 실험집단은 12주간 주 2회(1회: 40분) 요가 운동은 학습 후 집단×시기별 분석을 위해 이원변량 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및 시기별 집단 간 유의차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증(Turkey's HSD)을 실시하여 다음과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요가 운동 학습은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행동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 시기별 정서적 행동변화는 6주 이후부터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정서적 행동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요가 운동은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행동 모든 하위요인의 긍정적 변화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증명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16 children (experiment group of 8 people and control group of 8 people) at J Rehab facility in Seoul to analyze the effect of yoga exercise on emotional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Experiment group did yoga exercise twice a week (1 time: 40 minutes) for 12 weeks. With processing the material by conducting two way ANOVA and Turkey’s HSD for the analysis population×time after learning,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 it shows that learning yoga exercise influences the emotional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positively. Second, emotional behavior changes of experiment group were influenced by yoga more positively than control group, show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yoga exercise is effective program for all sub-factors of positive emotional behavior changes of the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검사도구 및 요가운동
  3. 연구절차 및 방법
  4. 자료처리
 Ⅲ. 결 과
  1. 충동성―욕구좌절
  2. 불안
  3. 우울-위축
  4. 사회성
  5. 자아개념
  6. 공격성
  7. 현실감 부재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허정식(호원대학교) | Heo, Jeong-Sik
  • 노재귀(호원대학교) | No, Jae-Kui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