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운동동기와의 관계: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Role of Basic Need Satisfac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Coaching Behavior and Exercise Motivation of Athle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9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이 연구는 Deci와 Ryan(1985, 2002)의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운동동기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J도에서 실시된 전지훈련에 참가한 운동선수 184명(남자선수: 134명, 여자선수: 50명)이었다. 참여자들은 코칭행동,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및 운동동기 질문지를 완료하였으며,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변인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치의 행동 유형 중 훈련/지도 행동은 자율성에 유의한 정(+)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주적 행동은 자율성과 유능성에 유의한 정(+)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피드백은 관계성에 유의한 정(+)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권위적 행동은 관계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욕구만족 구인들이 운동 동기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율성과 유능성은 자율적 동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동기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칭행동과 운동동기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민주적 행동만이 심리적 욕구만족을 경유하여 자율적 동기에 유의한 정(+)의 간접 영향과 통제적 조절에 부(-)의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코칭행동과 운동동기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부분적으로 입증하였다.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oaching behavior, basic need satisfaction and exercise motivation of athlet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4 athletes(134 male and 50 female) participated in winter season training camp of Jeju Provinc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measures of coaching behavior, basic need satisfaction, and exercise motivation. For data analysis, SPSSWIN 15.0 and Amos 7.0 program were us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howed that training/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 on autonomy; democratic behavior had positive effect on autonomy and competence; positive feedback had positive effect on relatednes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showed that autonomy and competence only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utonomous regulation. Finally, coaching behavior style show that democratic behavior only had significantly indirect effect on autonomous regulation via basic psychological need factors(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Consequently,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on exercise motiv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democratic behavior.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측정변수의 기술통계치와 상관관계
  2. 인과관계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양명환(제주대학교) | Yang, Myung-Hwan 교신저자
  • 김덕진(제주대학교) | Kim, Deok-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