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04-2006년 6-10월 동안의 남해중부연안 해역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생태 KCI 등재

Marine Environmen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June to October in 2004-2006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4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환경과학회지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한국환경과학회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남해안 중부해역의 여름철 전 후 단계를 나누어서 6월부터 10월까지의 2004-2006년 장기간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파악함과 아울러, Cochlodinium 적조발생에 관한 해석에 이용되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해역은 득량만, 고흥연안, 여자만, 가막만, 광양만, 여수연안, 남해연안으로 총 16개 정점이다. 수온은 19−29℃ 범위로 여름철 여자만에서 두 정점 모두 가장 높은 29℃C, 27℃
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8월을 제외한 6월, 7월, 9월, 10월에는 조사정점에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염분도는 7월과 8월에 여자만과 광양만에서 다른 조사해역에 비하여 약 5-6 정도 낮은 25-27를 나타내었다. 클로로필의 경우도 7월과 8월에 각 조사해역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광양만은 최고 5배 정도 많은 15μgl−1 까지 보였다. 투명도는 수온, 염분도, 클로로필과 다르게 조사기간 동안 해역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수준인 2-5m 정도로 보여주고 있다. 용존무기질소도 조사해역 중 광양만의 경우 7월과 8월에 가장 높은 0.53mgl−1 까지 보여 10배 정도까지 차이를 보였으나, 용존무기인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용존무기질소와 클로로필의 관계를 보면 7월에는 임의 상관성을 보여 클로로필의 증가에 따른 용존무기질소가 급속히 소모됨을 알 수 있지만, 8월에는 거의 오히려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식물플랑크톤의 평균 세포수는 7월과 8월에 500 cells ml−1 까지 나타내었고, 대부분 규조류의 비율이 60% 이상 출현되었으나, 8월에 와편모조류의 점유율이 20-30%까지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Skeletonema costatum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전 해역에 걸쳐 가장 많이 출현되었다. 각 해역별에 출현하는 식물 플라크톤의 집괴분석에 따르면 상호 혼잡되어 분포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여름철에 가장 큰 해양환경 변화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 중 S. costatum은 남해연안의 대표적인 기초생산 종으로 간주된다. 특히 여름철 Cochlodinium 적조는 득량, 가막, 고흥, 여수, 남해해역에서 3년 동안 계속해서 발생된 반면, 여자만과 광양만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뚜렷한 차이점은 용존무기질소 Cochlodinium 적조 형성을 위한 요구량은 수중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기보다는, 미량이라도 충분히 적조를 유발시키고, 외해역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는 뒷받침을 하고 있다.

This study monitored marine environmen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June to October in 2004-2006 and provided an information to how Cochlodinium blooms have occurred. A total of sampling sites was 16 (Dukyang bay, Goheung, Yeoja bay, Gamak bay, Gwangyang bay, Yeosu, and Namhae). Temperature ranged from 19℃ to 29℃, which all of sampling in Yeoja bay was the highest temperature of 27℃ and 29℃ during summer. On June, July, September, and October did not show a remarkable difference regardless of sampling sites. Yeoja and Gwangyang bays had 25-27 in salinity that was lower approximately 5-6 compared with other sampling sites. Chlorophyll had considerable fluctuations depending on sampling sites on July and October, in particular, Gwangyang bay was the highest value of 15μgl−1 that had five times as much as. Unlikely to temperature, salinity, and chlorophyll, transparency ranged from 2 m to 5 m regardless of sampling sites. Gwangyang bay was the highest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of 0.53mgl−1 on July and August that had ten times as much as, whereas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ing sites. On July, the correlation of DIN and chlorophyll was a negative that should extremely require DIN to grow phytoplankton, but was a positive liner on August. Mean cell number of phytoplankton reached to encounter a peak of 500 cells ml−1 in July and August, which diatoms were dominant species and attained an abundance of >60% regardless of months. In August, the occurrence of dinoflagellates ranged from 20% to 30%. Skeletonema costatum, one of dominant speicies, was the highest occurrence to throughout sampling sites during 2004 to 2006. On the basis of cluster analysis for phytoplankton, they were distributed in all of sampling sites. Consequently, significant fluctuations of marine environments were shown in summer and S. costatum was regarded as the representive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In particular, the outbreak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have occurred in Dukyang bay, Gamak bay, Goheung, Yeosu, and Namhae, but Yeoja and Gwangyang bays did not occur. The distinguish characteristics of occurring sampling sites and non-occurring in Cochlodinium blooms based on this study was DIN that was enough to persistently grow and maintain them even a litter dissolved in water. This suggests that Cochlodinium red tide seems to be occur in off waters.

저자
  • 조은섭(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Eun Seob Cho Corresponding Author
  • 이상용(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Sang Yong Lee
  • 김상수(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Sang Soo Kim
  • 최윤석(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Yoon Seok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