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남 여수지역 곰솔의 현존량 확장계수, 상대생장식 및 임분 현존량 KCI 등재

Biomass Expansion Factors, Allometric Equations and Stand Biomass of Pinus thunbergii in Souther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16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곰솔의 줄기밀도, 현존량 확장계수, 상대생장식 및 임분 현존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여수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15년생, 29년생, 45년생 등 3개 곰솔 천연임분을 대상으로 임분별 5주씩 총 15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줄기밀도는 0.440-0.457g/cm³이었으며, 임분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상부와 뿌리를 포함한 임목 전체의 현존량 확장계수는 모두 임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임분 1은 지상부 현존량 확장계수에서 임분 2, 3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임목 전체 현존량 확장계수에서 임분 3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임령이 증가할수록 줄기의 건중량 구성비가 높아지기 때문이며, 임분 1의 경우 유령림의 생장특성을 보이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흉고직경(D)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D2H)를 독립변수로 하고 부위별 건중량(Wt)을 종속변수로 하는 2개 유형의 상대생장식(Wt=aDb, Wt=a(D2H)b)을 유도하고 적합도를 검정하였다. 임분 1, 2, 3의 지상부 현존량은 각각 50.72t/ha, 89.92t/ha, 194.07t/ha이었으며, 뿌리를 포함한 임목 전체 현존량은 각각 61.62t/ha, 113.12t/ha, 248.36t/ha이었다.

Three natural Pinus thunbergii stands in southern Korea were studied to investigate stem density, biomass expansion factors, allometric equations and stand biomass. Stand ages of stand 1, 2 and 3 were 15, 29 and 45 years old, respectively. Three 10m×10m plots were set up, five sample trees were cut and roots of three sample trees were excavated for dimension analysis in each stand. Stem density of stand 1, 2 and 3 were 0.450/cm³, 0.440/cm³ and 0.457g/cm³,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stands. Biomass expansion factors of above-ground and total tree decreased with increasing stand age. Above-ground biomass expansion factor of stand 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tand 2 and 3, and total tree biomass expansion factor of stand 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and 3. Allometric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the 15 sample trees of the three stands based on D or D2H. Above-ground biomass of stand 1, 2 and 3 were 50.72t/ha, 89.92t/ha, 194.07t/ha, respectively, and total tree biomass of stand 1, 2 and 3 were 61.62t/ha, 113.12t/ha, 248.36t/ha, respetively.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황
  2. 표본목 선정 및 측정
  3. 표본목의 부위별 건중량
  4. 줄기밀도와 현존량 확장계수
  5. 상대생장식과 임분 현존량
 결과 및 고찰
  1. 표본목 측정
  2. 줄기밀도와 현존량 확장계수
  3. 상대생장식과 임분 현존량
 REFERENCES
저자
  • 박인협(순천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In-Hyeop Park 교신저자
  • 김소담(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So-Dam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