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능성 올리고당 첨가가 Bifidobacterium 균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functional oligosaccharides fo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fidobacterium sp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29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국내에서도 소득증대와 시장 확대 등에 따라 기능성 식품에 대한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유아용 및 노인용 식품제조에 적합한 유산균 제제의 개발과 함께 선발된 유산균의 생육을 위한 특정 생장촉진물질의 탐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두유수유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 선발된 Bifidobacterium 균을 생균제로서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Bifidobacterium 균의 성장요인으로 알려져 있고,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올리고당의 첨가에 따른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기능성 올리고당이 첨가된 배지에서 증식이 더 빠르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GOS가 5%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빠르게 증식하였다. 또한, 기능성 올리고당을 첨가한 경우 α-galactosidase와 β-galactosidase의 활성이 더 좋아졌고, 균체의 세포막 지방산 조성을 비교해본 결과 Oleic acid (C18:1 ω9C) 함량 또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pH 변화와 총산도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능성 올리고당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pH 5.79의 0.873%를 나타낸 반면, 5% GOS 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pH 3.6의 1.188%, 3% IMO는 pH 3.69의 1.134%, 그리고 FOS는 pH 3.71의 1.098%등으로, 현저히 낮은 pH를 나타냈다. 내담즙성의 실험결과 , 기능성 올리고당 중 5% GOS가 가장 높은 나타냈으나,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병원성균 성장저해 실험을 한 결과, 5% GOS를 첨가한 배지에서 자란 Bif. breve PBH-30이 E. coli O157,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등과 같은 병원성 균을 더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특히 E. coli O157의 생육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In vitro 부착능을 실험한 결과, 대부분의 Bif. breve PBH-30이 Caco-2 cell의 세포외막의 굴곡을 따라 부착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changes of growth properties of Bif. breve PBH-30 selected from korean infant by adding growth promotive factors such as galactooligosaccharides, fructooli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Bif. breve PBH-30 showed faster growth in TPY- broth containing functional oligosaccharides than TPY- broth(control broth). The medium with 5% GOS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3% IMO showed faster growth than 5% FOS. Bif. breve PBH-30 cultivated in TPY- broth containing functional oligosaccharides showed higher activies of α-galactosidase and β-galactosidase than TPY- broth(control broth). Also activities of α-galactosidase and β-galactosidase were higher in TPY- broth than with functional oligosaccharides except 3% IMO. In the analysis of fatty acid, the content of C18:1 ω9C was 31.53% in TPY broth, 38.41% in TPY- broth, 55.50% in TPY- broth containing 5% GOS, 50.95% in TPY- broth containing 5% FOS, and 45.75% in TPY- broth containing 3% IMO. Bif. breve PBH-30 cultivated in the media that containing functional oligosaccharides showed remarkably low pH than TPY- broth. Also the total acidity of Bif. breve PBH-30 was 0.873% in TPY- broth, 1.188% in TPY- broth containing 5% GOS, 1.134% in TPY- broth containing 3% IMO, and 1.098% in TPY- broth containing 5% FOS. Although Bif. breve PBH-30 cultivated in TPY- broth containing 5% GOS, affected significantly than with other functional oligosaccharides, growth in TPY- broth(control broth) supported highest bile tolerance. TPY- broth containing 5% GOS was more effective than TPY- broth in growth inhibition of pathogens such as E. coli O157,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Adherences of Bif. breve PBH-30 to Caco-2 cells were observed at most of the Caco-2 cell surfaces using confocal scanning microscope.

저자
  • 노효영(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금일(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강휘(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광엽(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