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침사구의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평가를 위한 포장실험 연구 KCI 등재

A Plot Scale Experiment to Assess the NPS Reduction of Sediment Trap for Non-irrigated Crop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이용하여 밭 시험포장에서의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경남 사 천시 용현면에 시험포장을 설치하고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장은 6개의 시험구와 3개의 침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험구의 크기는 가로 5 m, 세로 22 m의 크기로 각 시험구의 말단에는 유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위계를 설치하였고, 포장에서의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해 강우계를 설치하였다. 인공 강우 실험을 통해 유출수의 시간변화에 따른 수질을 측정한 결과 초기 유출시 SS, TOC, T-N, T-P, COD, NTU의 농도는 각각 15.00, 1.54, 5.27, 0.07, 4.72, 0.45 mg/L로 나타났으며, 4시간 후의 농도는 각각 1.00, 0.94, 4.06, 0.01, 0.60, 0.33 mg/L로 측정되었다. 대부분의 수질측정값이 초기 유출 시 높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공강우에 의한 유출실험 결과, 침사구에서의 부유물질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눈으로 식별 가능할 정도로 줄었으나 각 수질측정값은 불규칙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샘플링 시료에 포함되는 부유물질의 양이 일정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밭비점오염원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밭에서의 비점오염 배출을 최소화시켜 수질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llutant reduction effect for non-irrigated crop land by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For a field scale monitoring, 6 plots (5m width and 22m length) and 3 sediment traps were installed. At the outlet of each plot, the stage gauges were installed for runoff monitoring. For a rainfall monitoring, tipping bucket rain gage was installed within the experiment site. Through the artificial irrigation, runoff from the plots were monitored. The SS, TOC, T-N, T-P, COD, NTU of sampled water were analyzed by standard methods. The SS, TOC, T-N, T-P, COD, NTU concentration of initial runoff were 15.00, 1.54, 5.27, 0.07, 4.72, 0.45mg/L, respectively. Four hours later than the initial runoff, the concentration was changed to 1.00, 0.94, 4.06, 0.01, 0.60, 0.33 mg/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rtificial irrigation, three out of four sediment traps were filled with runoff water from the experimental plots. One sediment trap was not filled with runoff water because the artificial irrigation was not supplied for two experimental plots. The stage of sediment traps were gradually lowered. However, the water quality didn't showed a decrease trend as the stage went down because the suspended solid was not equally collected during the water sampling.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2.1 시험포장지 선정
  2.2 시험포장 내 시험구 설치
  2.3 침사구
  2.4 플룸
  2.5 토양특성 분석
 Ⅲ. 결과 및 고찰
  3.1 플룸의 수위-유량 관계 곡선 산정
  3.2 토양특성
  3.3 시험구에서의 수질 변화
  3.4 침사구에서의 수질 변화
 ≫ Literature cited
저자
  • 박태양(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 Tae-Yang Park (Dept. of Agric.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성재(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 Sung-Jae Kim (Dept. of Agric.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
  • 장정렬(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Jeong-Ryeol Jang (Korea Rural Research Institute.)
  • 최강원(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Kang-Won Choi (Korea Rural Research Institute.)
  • 김상민(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ang-Min Kim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i. of Agric. and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