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liability of Autorefractometry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KCI 등재

레이저 굴절교정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의 신뢰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레이저 각막교정술을 받은 후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신뢰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LASEK 수술 최소 3개월 후 나안 시력이 1.0인 57명(114안, 32.0±26.91세) 대상자의 굴절상태를 자동굴절검사기(CANON Full Auto Ref-Keratometer RK-F1, Japan)과 검영기(Streak Retinoscope 18200, WelchAllyn, USA)을 이용하여 구면과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하였고, 등가구면굴절력과 함께 비교하였다. 수술 전의 굴절상태를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에 따라 고도, 중도, 저도 근시로 나누어 다시 비교하여 수술 전 굴절상태에 따른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기의 신뢰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두 타각적굴절방법을 Bland-Altman(Bland-Altman limits of agreement(LoA))을 이용하여 두 방법의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은 전체 비교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며, 수술 전의 굴절상태 분류로서 고도 근시의 실린더굴절력을 제외한 중도, 저도 근시의 모든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자동굴절검사법에 의한 굴절력은 특히 구면과 등가구면굴절력에서 0.38D ~ 0.53D의 근시 경향으로 나타났다. 반면 검영법은 평균 약 0.30D의 원시 경향을 보였다. 두 굴절검사법의 비교에서는 평균은 –0.51±0.45D, LoA는 +0.36D ~ – 1.39D로 나타나 근시 경향이 강하였으며, 호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호환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레이저 각막교정수술 후의 근시 퇴행이 있는 수술자들의 자동굴절검사법은 근시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반드시 자각적굴절검사를 통해 안경처방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o find out the reliability of autorefractometer after laser refractive surgery
Methods : We measured and compared spherical and cylinder powers of those undergone LASEK surgery with 1.0 of naked vision after at least 3 months of the surgery with an autorefractometer(CANON Full Auto Ref-Keratometer RK-F1, Japan) and a retinoscope(Streak Retinoscope 18200, WelchAllyn, USA), and also applied spherical equivalent powers. The refractive status before surgery was divided into high, medium, and low myopia according to the results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meter, and then analyzed again the reliability of the autorefractometer after surgery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refractive status. The agreement of two methods was identified using Bland-Altman(Bland-Altman limits of agreement(LoA)).
Results : After the surgery, when comparing spherical, cylinder and equivalent powers in the whole data measured by autorefractometry and retinoscop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p<0.01).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s, all sort of refractive errors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p<0.01) except for cylinder power of the medium myopia. In general, the refractive errors especially spherical and spherical equivalent powers by autorefractometry were shown a myopic trend from -0.38 D to -0.53 D.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a hyperopic trend of approximately +0.30 D using retinoscopy. In comparison of two objective refractions, it was shown a myopic trend as –0.51 ± 0.45 D(LoA +0.36 D ~ –1.39 D) and compatible.
Conclusion : Even though it would be positive in terms of compatibility of the methods, it is necessary that the glasses should be prescribed by subjective refraction since autorefractometry is shown myopic in those undergone the surgery and suffering from myopic regression.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2. 분석방법
 Ⅲ. 결 과
  1.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구면, 실린더, 등가구면 굴절력
  2.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전체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비교
  3.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고도 근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4.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중도 근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5.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저도 근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6. Bland-Altman을 이용한 자동굴절검사법과검영법의 일치도(등가구면굴절력)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Ki-Seok Lee(Departmen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Technology) | 이기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