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isphenol S가 돼지정자와 난소내 과립막세포의 생존성과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Bisphenol S on Viabil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of the Sperm and Ovarian Granulosa Cells in Pi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5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동물자원연구 (Annals of Animal Resources Sciences)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Institute of Animal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돼지의 정자와 난소내 과립막세포에서 bisphenol S(BPS)가 생존성과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돼지정액은 0, 5μM BPS를 처리하여 3,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정자의 생존성은 SYBR14/PI를 이중 염색하여 분석하였으며, 활성산소의 생산을 측정하였다. 또한, BPS(0, 5, 10, 20μM)를 과립막세포에 처리하여 24, 48, 72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세포의 생존율과 활성산소 생산(단, 5μM BPS)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돼지에서 정자의 생존율은 BPS에 의해 감소하였고, 활성산소의 생산은 모든 처리시간에서 증가하였다(p<0.05). 또한 과립막세포의 생존은 BPS에 의해 억제되었고, 활성산소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BPS의 노출은 정자의 활성과 번식과 관련된 세포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effect of bisphenol S (BPS) on the viability an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studied in boar sperm and ovarian granulosa cells. Boar semen was incubated in Beltsville thawing solution with either 0 or 5 μM BPS for 3 and 6 h. The viability of sperm was analyzed by SYBR14/PI doubling staining, and production of ROS was detected. Ovarian granulosa cells were also treated with BPS for 24, 48, and 72 h. Then, cell viability (0, 5, 10, and 20 μM) and ROS production (only 0 and 5 μM BPS) were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BPS decreased sperm viability at 3 and 6 h, and that BPS increased ROS production (p<0.05). Also, BPS reduced the viability of ovarian granulosa cells (p<0.05), and stimulated ROS production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PS damages sperm activation and ovarian granulosa cells in the reproductive system.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1. 시약
  2. 정액의 처리
  3. 정자의 생존성
  4. 정자의 활성산소 생산
  5. 과립막세포의 처리
  6. 과립막세포의 생존성
  7. 과립막세포의 활성산소 생산
  8. 통계처리
 Ⅲ. 결과 및 고찰
 Ⅳ. 요약
 Ⅴ. 참고문헌
저자
  • 이유섭(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Yu-Sub Lee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승형(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Seunghyung Lee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양부근(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Boo-Keun Yang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