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유림 복합경영사업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National Forest Complex Manag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6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산림복합경영사업의 관리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참여 작목반원들의 의식조사, 산림복합경영사업 관리 등에 대하여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유림에서 추진중인 산림복합경영사업에 대한 작목반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15개의 항목중에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산림복합경영사업에서 집중적 관리전략이 필요한 분야로 전자상거래 및 직거래 활성화, 생산 및 판매 유통정보 2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현 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필요한 분야는 6개 항목,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분야는 3개 항목, 과잉노력을 지양해 할 분야는 4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림복합경영사업의 추진방향 설정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political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nd activation of National Forest Complex Management(NFCM). Survey method was utilized for workers as respondents to measur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FCM.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respondents’ performance was very high. In addition, out of 14 items, two items -1) activation of e-commerce and direct business transaction, 2) production and sales marketing information, which intensive management strategy, were derived from results. Also, 6 items were derived for on-going maintenance, 3 items were derived for low priority order, and other 4 items were derived for discouragement against excessive efforts.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sources that can be utilized for promoting direction establishment and system improvement of NFCM.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자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3.1 산림복합경영사업 현황
  3.2 산림복합경영사업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3.3 산림복합경영사업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 Literature Cited
저자
  • 정병헌(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Byung-Heon Jung (Dept. of Forest and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재성(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Jae-Sung Kim (Dept. of Forest and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현근(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Hyeon-Geun Kim (Dept. of Forest and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
  • 김의경(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Eui-Gyeong Kim (Div. of Environm. For. Sci.(Insti. of Agric.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