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원 소재로서 지역 종자 적용을 위한 억새와 갈대의 유전적 변이분석 KCI 등재

Genetic Difference Analysis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Miscanthus sinensis and Phragmites australis to Apply Regional Seed for Restoration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염습지 해안 복원의 주요 식물인 갈대와 내건성 대표 식물인 억새의 지역별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지역별 복원종자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고자 하는 연구로서, SNP를 활용한 근연관계 분석 결과 억새는 홍성군 집단이 다른 지역과 상이한 유전적 변이를 보인 반면, 갈대는 모든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인 변이양상이 나타낸다. 이를 통하여 억새의 경우 우리나라 전역에 발생하는 건조지에서 억새시료를 사용할 때는 지역별로 수집한 종자를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부득이하게 다른 지역의 식물 자원을 사용한다고 해도 유전적인 교란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것으로 보인다. 갈대의 경우 전 지역에서 유전적 변이가 다양하며 억새에 비하여 유전적 변이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염류 피해지의 복원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인 갈대의 경우 종자를 지역별로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향후 복원 사업에 대비하여야 한다.

Restoration ecology is the practical study of renewing and restoring a spoilt, degraded, or devastated ecosystems in the environment. Because the Korean industry has been drastically developed for the past few decades, the Korean ecosystem requires restoration using regional se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variation of phylogenic relationship of Miscanthus sinensis or Phragmites australis by locations in Korea. Chloroplast DNA atpF-H and psbA-trnH interspace region were used as a molecular marker to resolve the phylogenic relationship in 10 different locations. We performed the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with 10 chloroplast DNAs from each location using Kimura 2-parameter. The analysis of Miscanthus showed that all atpF-H genes were exact matches except for Ose san. In contrast to Mischanthus, the atpF-H genes from Phragmites were observed to have more variation. A total of 7 locations revealed the variation in chloroplast gene. According to the phylogenic tree in Phragmites, 2 of 10 samples in 6 locations and 3 of 10 in 1 location showed variation with 0.160- 0.181 genetic distance. According to the genetic distance of the Miscanthus sinensis, there were no mutations in all regions except the Hongsung. These results support regional differences and show the necessity for seed collection by region. In the case of Phragmites australis, genetic variation occurred in all region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식물재료
  2. Genomic DNA 추출
  3. 엽록체 DNA 유전정보 수집 및 프라이머 디자인
  4.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
 결과 및 고 찰
  1.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
  2. Phylogenic tree를 이용한 환경변이 분석
 적 요
 REFERENCES
저자
  • 홍선희(한경대학교 식물생명환경과학과) | Sun Hee Hong (Department of Plant Life & Environme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Hankyoung National University)
  • 박상용(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Sang Yong Park (Department of Plant Resources,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민경도(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Kyeoung Do Min (Department of Plant Resources,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재윤(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Jae Yoon Kim (Department of Plant Resources,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