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기성폐기물이 느티나무 재배지 토양의 화학성 및 생물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Organic Waste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Organisms under Zelkova serrata Culti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식품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성폐기물인 골분, 유박, 굴 패화석을 토양에 투입한 결과 일부 처리구에서 토양생물과 화학성이 영향을 받았다. 골분은 토양의 질산태질소를 일시적으로 증가시켰고, 패화석은 pH를 증가시켰다. 골분은 느티나무 생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이차적으로 토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생물 PLFA는 패화석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환경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지표도 낮은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 패화석이 양분 증가보다는 pH 증가를 통해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토양미소동물 중에는 세균섭식성 선충만이 유박과 골분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들 밀도와 세균 PLFA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다만 식물생장과 식물섭식성선충의 유의적 상관관계는 유기물투입이 식물을 통해 이차적으로 토양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부분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유기성폐기물 처리는 토양화학성 변화를 통해 일차적으로 미생물 군집에 영향을 주지만, 미생물을 섭식하는 생물군에게 상향식의 양적인 연쇄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reusable organic wastes, on soil organisms and chemical properties. Bone meal, de-oiled cake, and oyster shell were applied and abundances of soil organisms were measured at 3 and 15 months, after treatment in soil under sawleaf zelkova cultivation. Soil organisms are affected, by the quality of applied organic wastes. Abundance of microorganisms was higher in oyster shell treated soils than in untreated soils, suggesting that soil pH is a driving force, altering abundance and structure of the microbial community. Increase in abundance of bacterivorous nematodes was observed under treatment with bone meal and de-oiled cake, but there was slight change in abundance of fungivorous and herbivorous nematodes. Abundance of herbivorous nemato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nt growth, at 15 months after treatment. Response of microarthropods in the Collembola and Oribatida was not apparent. Abundances of primary consumer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icroorganisms. This study suggested that organic waste influences soil organisms primarily by altering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bottom-up effects may not occur in trophic reaction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실험처리 및 식물조사
  2. 토양화학성 분석
  3. 토양미생물 인지질지방산 분석
  4. 토양미소동물 조사
  5. 통계분석
 결 과
  1. 토양화학성 및 식물생장
  2. 토양미생물
  3. 토양미소동물
 고 찰
  1. 토양화학성 및 식물생장
  2. 토양미생물
  3. 토양미소동물 및 먹이연쇄반응
 적 요
 REFERENCES
저자
  • 어진우(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Jinu Eo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Corresponding author
  • 김명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Myung-Hyun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남형규(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Hyung-kyu Na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권순익(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Soon-Ik Kw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송영주(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Young-Ju So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