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산만 봉암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분포양상 KCI 등재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during Recent Summer Seasons at the Bongam Sand Tidal Flat of Masan Bay,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마산만 하구에 위치한 모래갯벌인 봉암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군집구조 변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하계에 연 2회씩 총 11회에 걸쳐 현장조사가 수행되었다. 봉암갯벌은 모래 함량이 70% 이상인 모래 갯벌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조사결과 갯벌의 상부지역을 중심으로 니질 함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C 함량도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대 TOC 함량이 1% 수준으로 심각한 수준의 유기물 증가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봉암갯벌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는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오염지시종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는 감소하였고, 종다양도지수를 비롯한 군집지수는 크게 증가하는 등 환경 개선의 결과가 일부 나타나고 있다. 마산만의 입구에 위치한 봉암갯벌은 마산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지정 및 오염총량제 실시로 인해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였고, 그로 인해 봉암갯벌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농도 역시 감소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환경자료의 부제 및 조사 시기의 차이 등으로 인해 본 연구 결과만으로 환경이 개선되었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추후 환경 및 대형저서동물의 개체군, 군집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한 환경개선 유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series of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at the Bongam sand tidal flat in Masan Bay. We collected macrobenthos at 9 sampling sites twice in June and September of every year from 2012 to 2017 using a box core sampler (collecting area, 0.025 m2). There was a total of 50 species with a community density of 6,388 ind.m-2 and a biomass of 313.9 g wet m-2 during the study period. Polychaetes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among the macrofauna, but the mollusks had the largest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ranged from 10 to 25 during study period but increased to over 20 species in 2014. The density which ranged from 1,508 ind.m-2 to 12,008 ind.m-2 rapidly increased in 2015. The dominant species were all polychaetes such as Heteromastus filiformis, Prionospio japonicus, Hediste diadroma, and Neanthes succinea. The mean diversity index ranged from 1.2 to 1.9, richness index from 1.2 to 2.4, and evenness index from 0.5 to 0.9. From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patial difference in the similarity of faunal composition of macrobenthos and this pattern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at is, the temporal similarities were higher than the spatial similarities. There was a change in community composition from June 2014 to June 2015 in most of the sampling sites. During this time, the dominant species also changed from H. filiformis and N. succinea to H. filiformis and H. diadroma. The density of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Capitella capitata and Polydora ligni decreased compared to the early 2000s while the population of H. diadroma increased from 2015. There was little ecological information on H. diadroma such as when and where this species occurred.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저서환경
  2. 대형저서동물
 결 과
  1. 저서환경
  2.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3. 우점종
  4. 군집지수
  5. 유사도 분석
  6. 상관 분석
 고 찰
  1. 저서환경
  2.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3. 우점종 조성
 적 요
 REFERENCES
저자
  • 최진우(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Jin-Woo Choi (Risk Assessment Research Center, KIOST) Corresponding author
  • 김정현(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Jeong-Hyun Kim (Risk Assessment Research Center, KIOST)
  • 서진영(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Jin-Young Seo (Risk Assessment Research Center, KI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