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 소하천의 농어촌환경용수 공급을 위한 하천유량 모니터링 KCI 등재

Streamflow Monitoring of Rural Small Streams for Environmental Flows Supply from Irrigation Reservoi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농촌 소하천의 적정 환경유지용수 산정을 위한 기초조사로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 리에 위치한 봉현저수지를 수원으로 하는 봉현천과 하이저수지를 수원으로 하는 석지천을 대상으로 시기 적 우기이면서 농번기인 2010년 5월에서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18개 지점을 선정하여 하천조사 및 유 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선행 강수량이 많을 경우 하천의 전 구간에 유량이 증가하였고, 선행 강수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는 계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하천이 메말라 있었다. 각 하천의 상류부의 경우 에는 항시 일정량의 유량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댐 침윤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량 프로파 일을 작성한 결과 봉현천 하류부 2,000 m 지점과 3,500 m 지점, 석지천 하류부 1,200 m 지점에서 주변 참다래 과수원의 관개용수 양수, 참다래 보관 및 선별공장에서의 취수 및 관측지점 상류부의 연속적인 보 의 영향으로 유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봉현천 하류부 4,200 m 지점에서는 유량이 증가하 였는데 이는 배수로를 통한 유출수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현장 모 니터링을 통하여 농어촌환경용수 공급을 위한 적정 유지유량을 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streamflow of rural streams for investigating the status of stream depletion located downstream of irrigation reservoir. Bonghyun and Hi reservoirs area, located in Gyeongnam, Gosung-gun, Hi-myeon, were selected for study watersheds and streams. Streamflow monitoring were conducted 6 times during the paddy growing season of 2010 from May to October. Streamflow was measured for 18 stations downstream from two reservoirs with the interval of 300m to 500m, The amount of streamflow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antecedent precipitation and irrigation amount. In most observation stations, streamflow was depleted when precipitation and irrigation were not provided. Pumping from stream for irrigation and water supply for factory and irrigation return flow were also factors on streamflow. Continuous monitoring for rural streams located in downstream of reservoirs are required to quantify the status of streamflow depletion and determine the amount of environmental flows.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2.1 대상지역
  2.2 현장관측 조사항목
  2.3 기상자료 수집
  2.4 하천 피복 및 유량 조사
 Ⅲ. 결과 및 고찰
  3.1 지점별 유량조사
  3.2 유량 프로파일
 Ⅳ. 요약
 ≫ Literature Cited
저자
  • 김상민(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ang Min Kim (Dep. of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i. of Agric.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성재(경상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Sung Jae Ki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용완(경상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Yong Wan Ki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박태양(경상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Tae Yang Park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성민(경상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Sung Min Ki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박기욱(한국농어촌공사) | Ki Wook Park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장민원(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in Won Jang (Dep. of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i. of Agric.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