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담수된 논토양의 환원 환경에서 비소 및 중금속의 용출특성과 석회석 및 제강슬래그의 안정화 효과 검토 KCI 등재

Leaching Characteristics of Arsenic and Heavy Metals and Stabilization Effects of Limestone and Steel Refining Slag in a Reducing Environment of Flooded Paddy Soi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 광산 주변 비소와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토양을 효과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안정화 제로써 석회석과 제강슬래그의 처리효과와 그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담수답의 환원 환경을 적용한 컬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담수된 논토양의 환원 환경에서는 철과 망간 성분이 환원되어 급격하게 용출되는 시점에 중금속 성분도 급격하게 용출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대조구(무처리)의 경우 침출수에서 오염기준을 초과한 시료가 나타났다. 그러나 석회석 5%와 제강슬래그 5%로 각각 처리한 토양은 모두 오염기준 이하로 대조구보다 중금속 농도가 매우 낮게 검출되었다. 석회석과 제강슬래그 모두 담수답의 환원 환경에서 좋은 처리효과를 나타내어 효과적인 안정화제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제강슬래그는 담수답 환 경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비소 성분에 대해서 좋은 처리효과를 나타내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reatment effects of limestone and steel refining slag for paddy soils contaminated with arsenic and heavy metals, a lab-column test was carried out under reducing environments of flooded paddy soils. In conditions of the flooded paddy soils, at the point of time when iron and manganese were reduced and leached rapidly, heavy metals also leached rapidly, and some leachate samples from an untreated soil exceeded regulatory standards. On the contrary, all samples from soils treated with limestone 5% and steel refining slag 5% respectively were below the regulatory standards, showing much lower heavy metal concentrations than in the untreated soil. Arsenic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ccording to its typical characteristics, and along with decreasing redox potential, arsenic was expected to leach as H3AsO3‐of form A3+ with high mobility and strong toxicity. Limestone and steel refining slag showed high treatment effects against heavy metals present in soil and steel refining slag especially showed the high treatment effects against arsenic.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2.1 대상토양 선정 및 시료채취
  2.2 안정화제의 선정
  2.3 논의 특성을 고려한 컬럼실험의 운용
  2.4 시료의 분석
 Ⅲ. 결과 및 고찰
  3.1 대상토양의 특성
  3.2 담수 토양의 산화환원전위 (Eh) 변화
  3.3 침출수의 pH 및 전기전도도 (EC) 변화
  3.4 침출수 내 가용성 환원물질 (Fe, Mn)의 변화
  3.5 침출수 내 비소 및 중금속의 농도 변화
 ≫ Literature cited
저자
  • 유찬(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Chan Yu (Dept. of Agric.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 Life Sci.)) Corresponding author
  • 김하진(경상대학교 대학원) | Ha-Jin Ki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진혜근(경상대학교 대학원) | Hae-Geun Jin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강신일(경상대학교 대학원) | Sin-Il Kang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윤성욱(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ung-Wook Yun (Insti. of Agric.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