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얼 래더맨 유켈리스 (Mierle Laderman Ukeles)의 “유지관리예술”: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Mierle Laderman Ukeles’s “Maintenance Art”: Focused on early wor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9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미술사문화비평학회 (Association of Art History, Culture & Critique)
초록

본 논문은 미얼 래더맨 유켈리스의 유지관리예술에 관한 연구이다. 1969년 유켈리스는 ‘유지관리예술 전시계획서’ 선언문을 통해 여자들이 집안일을 떠맡는 것에 반박했 다. 이 선언서는 페미니즘 미술성향으로 쓰여 졌으며, 유켈리스는 의존이라는 불변의 제도에 갇힌 가정주부 이미지를 바꾸고자 시도하였다. 당시 첫째 아이를 임신했던 그녀는 사회적, 정치적 변화에 대항하는 한편 생물학적, 심리적 변화를 겪고 있었고, 이런 경험은 예술에 대한 그녀의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해서 유켈리스는 예술과 생활을 양립시킬 수 있는지 의문을 가졌고, ‘유지관리예술가’가 되어 가정주부와 예술가의 전형을 재해석하고자 했다.
‘우리의 일상이 돌아가도록 만드는 행위(performance)’인 ‘유지관리예술’은, 전통적으로 열등한 노동으로 여겨지는 여성의 가사노동, 즉 요리와 청소, 육아, 쇼핑(장보기) 등의 일을 ‘유지관리(maintenance)’ 양식의 작업이라고 선언하였다. 이러한 유지관리 양식은 ‘발달(development)’ 양식의 작업과는 대립되는 것으로서 정의한다. 즉 작가는 유지 관리예술 전시계획서에서 ‘발달’과 ‘유지관리’를 두 개의 기본적인 체계로 구분한다. 즉, 발달은 순수하게 개인적인 창조, 새로운 것, 변화, 발전, 전진, 흥분 등이며, 유지관리는 순수하게 개인적인 창조물에서 먼지를 털어내는 것, 새로운 것을 보존하는 것, 변화를 인정하고, 발전을 보호한다, 전진을 방어하고 연장한다, 흥분을 새롭게 한다 등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유지관리’의 작업도 발달의 양식과 동등한 지위를 얻어내야 함을 주장 하였다.
이러한 유켈리스의 작품 성향은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같이 일반 사물이 예술적 공간에서 기능을 잃고 변형됨으로써 나타나는 경계의 와해와 영역의 파괴라는 점에서 아방가르드의 성격이 있다. 뒤샹은 미술에 대한 기존의 관념, 작품의 인습적인 제작, 평가, 수용, 유용의 모든 과정에 도전했다. 작품과 작가의 범주, 미에 대한 관객의 기대, 작품의 서사 체계, 이성적 해석 등을 무력화하기 위해 우연이라는 방식을 선택하고 미의 객관적 가능성을 시도했다. 뒤샹의 방식대로, 유켈리스의 작품은 가사생활에서의 문제점들과 관련된 레디메이드를 지속하고 확장시켜나갔다. 그녀의 작품들이 담아내고자 하는 내용은 명백히 일상적인 가사노동과 관련이 있었고, 이는 예술활동의 대상에 대한 개념주의적인 태도로써 레디메이드의 본래의 도전도 계속적으로 이어나갔다.
그녀는 또한 초기부터 제도비판에 대한 옹호자였으며, 하트퍼스에서의 퍼포먼스를 통해 박물관의 권력구조가 어떻게 전복되는가를 분명히 보여주었다. 유지관리를 위한 노동은 예술처럼 흥미롭거나 전위적인 것이 아닐지 모르지만,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 이다. 유켈리스의 유지관리 작업은 행동주의와 학문적 관점에 대한 접근을 통해 페미니즘적인 자기 정체성과 공동체 사회와의 연관성을 명백하게 드러내면서 다양하게 확장하게 한다.

This thesis focuses on Mierle Laderman Ukeles of “Maintenance Art”. After child-birth in 1968, Ukeles became a mother/maintenance worker and fell out of the picture of the avant-garde. In a rage, she wrote the Manifesto for Maintenance Art 1969, applied equally to the home, all kinds of service work,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sustenance of the earth itself. She viewed the Manifesto as a world vision and a call for revolution for the workers of survival who could, if organized, reshape the world.
In her 1969 “Maintenance Art” Ukeles divided human labor into two categories: development and maintenance. She writes: Development: pure individual creation; the new; change; progress; advance; excitement; flight or fleeing. Maintenance: Keep the dust off the pure individual creation; preserve the new; sustain the change; protect progress; defend and prolong the advance; renew the excitement; repeat the flight.
Ukeles work continues and extends the readmade’s association with issues of domesticity. The content of her work was explicitly concerned with everyday domestic labor, and continued the readymade’s original challenge to the concept of the art object, while extending its critique of the institutions of art, such as the museum and the gallery.
She also was an early advocate of institutional critique, with her performances in Hartford illuminating how the power structures of the museum can and should be subverted. Though different in appearances, most power structures operate similarly. The larger issue of societal sexism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mismatched recognition of custodial and curatorial labor in the museum, and the raced and classed implications of this labor. Maintenance labor may not be avant garde or exciting like art, but it is integral to life. If anything unifies Ukeles’ lifetime of work, it is this insistence on making visible the invisible labor that keeps society alive.
Ahead of her time, Ukeles also recognized the connections across communities and identities that would come to define third wave feminism and inter sectionality as an approach to activism and scholarship. This early inter sectionality was manifested through her work at the Department of Sanitation, as a white woman bringing attention to denigrated labor done by men of all races but of low socioeconomic status. While Ukeles’ work is not nearly as well known or part of our shared cultural history as Chicago’s, her work accessed and empowered a wider group of people. These connections are integral to enacting successful social change, and Ukeles recognized that very early by art world standards.

목차
Ⅰ. 서론
 Ⅱ. 유지관리예술(Maintenance Art)의 역사적 맥락
 Ⅲ. 레디메이드(ready-made)와 가사 노동
 Ⅳ. 미술과 일상적 가사노동의 계보(系譜)
 Ⅴ. 사회 참여적 비물질 행위를 통한 ‘가치’의 전복
 Ⅵ. 결론 및 한계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
  • 김미선(전북대학교) | Kim Mi Se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