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0월 부마항쟁의 진실과 역사적 성찰: 10‧16 부산항쟁과 10‧18 마산항쟁의 비교분석 KCI 등재

The Truth about October Buma Uprising and Historical Refle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usan Uprising and Masan Upris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4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유신체제시기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과 마산에서 발생한 부마항쟁은 유신체제의 제반 모순에 대한 도전이었다. 그러나 그로부터 6일 뒤 박정희 대통령이 권부 내 갈등으로 살해되는 10·26사건이 일어남으로써 부마항쟁은 이 사건의 도화선 역할을 한 ‘미완의 항쟁’으로만 남게 되었다. 이 연구의 요체는 ‘부마항쟁의 진실과 역사적 성찰’이란 주제에 걸맞게 부마항쟁이 어떻게 발발하고 전개되었으며, 또 어떻게 진압되었는지를 부산항쟁과 마산항쟁의 주요 쟁점을 통해 비교고찰 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대학생과 민중이 주도한 부마항쟁의 시위전개와 경찰과 군에 의한 시위진압이 서로 부딪치면서 박정희 대통령 및 권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부마항쟁은 올해로 39주년을 맞는 과거사가 되었으나 아직도 진상규명이나 명예회복 등의 문제가 산적해 있어 법제도의 정비 등, 우선적으로 해결할 것이 많은 현대사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일단의 세력들이 항쟁의 주도자인 양, 여러 가지 기록물이나 증언을 통해서 부마항쟁사의 진실을 호도하고 농단하는 작태로 진실규명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부마항쟁의 진실규명을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의 획득, 항쟁관련자의 증언 청취나 현지조사 등이 필요하며, 항쟁사의 진실을 호도하고 농단해 온 세력에 대한 법적․사회적 응징과 대응도 필요하다고 본다.

The Buma Uprising, which took place in Busan and Masan from 16 to 20 October 1979, was a challenge against the contradictions of the Yushin Regime. Only after 6 days from the insurrection, the 10·26 Accident transpired, in which the then president Park Chung-hee was assassinated, and the Buma Uprising, which acted as the fuse to the shooting, remained as an ‘incomplete uprising’. To commensurate with the subject of the paper ‘The Truth about Buma Uprising and Historical Refl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uprising began, unfolded, and oppressed by comparing it with Busan Uprising and Masan Uprising. It also focuses to discuss, in detail, the effect of the demonstration by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and suppression by the forces of the police and military on President Park and his government. This year, we celebrate the 39th anniversary of Buma Uprising, and with all the issues of discovering the truth, restoration of reputation and more, there are decisions and resolves to make including amendment of the legal system. However, there are certain groups of people who act as they led the uprising and mislead and exploit the facts of the events through illegitimate records and testimony, making it impossible to determine the truth. Discovering the truth will require acquisition of objective materials, testimony of those involved in the event and field research as well as imposition of legal and social punishment on those who distorted the truth about the event.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과 분석요인
 Ⅲ. 부마항쟁의 시위전개 양상
  1. 부산대 교내시위와 경남대 교내시위의 배경
  2. 부산대 교내시위의 결사항전 & 경남대 교내시위의 실패
  3. 부산대생의 도심 진출과정 & 경남대생의 도심 진출 왜곡과정
  4. 도심의 해방공간을 활용한 시위양태의 부마항쟁
  5. 불특정다수 시민들의 동참으로 시위계층의 다양성을 가져온 부마항쟁
  6. 시위대의 게릴라전술로 일관한 부마항쟁
  7. 즉자적인 시민참여가 불러온 민중항쟁
  8. 민중봉기의 질적 규정상 투쟁양상을 가져온 부마항쟁
  9. '유신철폐'와 '독재타도'라는 시위구호를 외친 부마항쟁
  10. 비(非)수도권에서 이룬 민중항쟁
  11. 박정희 대통령의 부마항쟁에 대한 상황판단 착오
 Ⅳ. 부마항쟁의 시위진압 과정
  1. 시위진압의 초점은 불순분자나 폭도들에 의한 소요사건
  2. 박정희 대통령의 부마항쟁 인식과 강경진압
  3. 경찰과 정보기관에 의한 부마항쟁 관련자의 남민전과의 연계성 음모
  4. 마산시위 진압 과정에서의 사제소총을 들먹인 경찰
  5. 계엄위원회(부산) 및 시국비상회의(마산) 개최
  6. 부산과 마산에 불법적 지역 군(軍) 및 공수부대 투입과정
  7. 부산항쟁과 마산항쟁의 시위진압의 결과
  8. 부산과 마산의 항쟁관련자 재판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주신(한국정치사회연구소) | Chung Joo-Shin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