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교사의 ‘읽기 부진아’ 지도와 연수 경험에 대한 조사 연구 KCI 등재

A Survey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about Instruction and Job-related Training for Teaching ‘Reading Underachiev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8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부진’과 ‘읽기 부진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살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약 100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읽기 부진아’의 특성과 학교 현장에서 진행되는 읽기능력의 진단 및 지도 실태와 연수 경험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읽기 부진아’의 개념을 여러 층위에서 폭넓게 정의하고 있었으며, ‘읽기 부진’의 진단 검사 도구의 사용 양상도 매우 다양하였다. 전체 연구 참여자의 약 80%가 자신이 담임하는 학급에 ‘읽기 부진아’가 1-2명이상 존재함을 파악하고 있었으나 이중 49명(50.5%)만이 현재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교사의 약 83.3%가 학급 내 ‘읽기 부진아’를 발견하고 자발적으로 지도를 시작했으며, 이들 중 22명(44.9%)만이 읽기 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교사 중 관련 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27.1%에 그쳤는데, 이들은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지 않는 집단에 비하여 오히려 연수 경험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를 지원하는 연수의 내용이나 방법이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실천적 측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하여 좀 더 면밀한 파악과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읽기 부진아’ 지도는 학습자에게 필수적인 기초 능력을 길러주는 ‘초등 교사의 전문성’을 의미하므로 이에 대한 지원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reading underachiever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ong with their thoughts about their teaching statu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pproximately 100 incumb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ideas concerning their status and their tendencies and perception regarding reading underachiever teaching in school. An online survey, that used Google Drive, was conducted for the week of July 20th to 25th, 2018.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dicated that the most important underachievement of their students was basic reading and writing. They perceived reading poor children were those who could not read loudly, those who had poor vocabulary, those students who lacked in reading ability to check facts, or those who did not read to find meaning. They found that there were one to two poor readers in their classes. More than 80% of the teachers volunteered to teach the reading underachievers who had been detected in their classrooms. However, only 40 (41.2%) of the respondents had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ppropriate support has not been provided to teachers who directly deal with reading poor children. And the teachers failed to name the reading diagnostic tools correctly, and it can be presumed that they had poor information or knowledge about them.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educational circles should not spare multilateral support so that teachers become self-confident and are able to make the correct judgments regarding learners' reading problems, choose a method most appropriate for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apply it effectively.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읽기 부진’에 대한 개념과 특성
  2. 초등교사의 국어 수업 전문성
 Ⅲ. 초등학교 교사의 ‘읽기 부진아’ 지도 및 연수 경험 조사
  1. 연구 참여자 및 조사 방법
  2. 조사 결과 및 논의
 Ⅳ. 맺으며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서현석(전주교육대학교) | Seo Hyun-Seok (Jeon 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