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KCI 등재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xperiment of Making a Model of Volcanic Activ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9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30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설문을 통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학교 과학 탐구의 목표를 바탕으로 해당 실험에 가진 장점과 개선점을 알아보았다.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50-60%가 경력이나 근무 지역에 관계없이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사들이 언급한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의 장점은 안전하고 학생들의 창의성에 개발에 유용하다는 것이었다. 반면, 교사들은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의 문제점으로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은 이 수업이 추구해야 하는 본질과 괴리가 있으며 실제 화산 활동 모습과도 다르고 단순한 만들기 활동에 한정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탐구의 특성에 근거해서 분석해 본 교사가 생각하는 학교 과학 탐구의 주요 목표는 과학적 지식 적용, 탐구 능력 개발 및 학생 호기심 함양이었다. 이러한 목표에 비추어 볼 때 현재의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은 세 가지 모두를 충족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은 모형 실험은 실제성을 충족해야만 한다고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making a model of volcanic activity. Thirty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they in which they conducted the experiment of “Making a Model of Volcanic activit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he teachers understoo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xperiment in terms of the goals of school science inquiry. The results showed that 50-60% of the teachers were able to conduct the experiment as guided in the textbook regardless of their career or area of concentration.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experiment of current textbook was safe and useful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However, they pointed out three major weaknesses of the textbook experiment: First, the textbook experiment does not clearly present the main purpose of the activity. Second, it does not appropriately reflect the natural volcanic activity. Third, it is a merely simple craft activity. In addition,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main goals of school science inquiry are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development of inquiry skills and cultivation of student’s curiosity. However,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experiment of current textbook did not meet these three goals. They suggest that the experiment reflect the nature of real volcanic activitie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분석 대상 및 검사 도구
  자료 수집 및 분석
 연구 결과 및 논의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의 현황
  교사들이 생각하는 탐구 수행 이유에 관한 인식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이규호(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Gyuho Le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