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심전도를 이용한 경쟁-협력의 감성 인식 방법 KCI 등재

Emotion Recognition Method of Competition-Cooperation Using Electrocardiogr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2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경쟁과 협력을 인식하는 것은 일하는 공간에서 상호작용 디자인을 하는 데에 필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유발되는 경쟁과 협력의 사회 감성을 심장의 생리 반응 패턴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피험자 60명은 패턴 게임으로 구성된 과제로 경쟁-협력 실험에 참여하였고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심전도로부터 시간 영역 지표인 RRI와 SDNN, pNN50, rMSSD를 추출하였고, 주파수 영역 지표인 VLF와 LF, HF, VLF/HF, LF/HF, lnVLF, lnLF, lnHF, lnVLF/lnHF를 추출하였다. 독립 표본 t검정으로 사회 감성에 따라 추출한 지표들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들로 단계적 판별 분석을 진행하여 선정 된 SDNN, VLF, lnVLF/lnHF 지표로 경쟁-협력 규칙을 정의하고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85%의 인식 정확도를 보였 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감성 인식 방법은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cognize social emotion, including competition-cooperation, while designing interaction in work plac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ardiac response associated with classifying competition-cooperation of social emotion. Sixty students from Sangmyung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asked to play a pattern game to experience the social emotion associated wi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Electrocardiograms were measured during the task and were analyzed to obtain time domain indicators, such as RRI, SDNN, and pNN50, and frequency domain indicators, such as VLF, LF, HF, VLF/HF, LF/HF, lnVLF, lnLF, lnHF, and lnVLF/lnHF. The significance of classifying social emotions was assess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The rule-base for the classification was determined using significant parameters of 30 participants and verified from data obtained from another 30 participants. As a result, 91.67% participants were correctly classified.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of classifying social emotions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nd provides objective data for designing social interaction.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연구방법
  2.1. 피험자
  2.2. 실험설계 및 자극구성
  2.3. 실험 절차
  2.4. 데이터 수집 및 신호처리
 3. 연구결과
  3.1. 시간 영역 지표
  3.2. 주파수 영역 지표
  3.3. 시간 및 주파수 영역 지표를 통한 규칙 도출 및검증
 4. 결론
 REFERENCES
저자
  • 박상인(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Sangin Park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Sangmyung University)
  • 이동원(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Don Won Lee (Department of Emotion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 문성철(CJ 헬로 Future Engine Lab) | Sungchul Mun (CJ Hello Future Engine Lab., CJ Hello)
  • 황민철(상명대학교 미래융합공학대학 휴먼지능정보공학과) | Mincheol Whang (Department of Intelligent Engineering Informations for Human, Sangmyung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