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심장활동 신호 검출용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조가 센싱 성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Contact Type Textile Electrode on the Performance of Heart Activity Signal Acquisition for Smart Healthca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2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해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조가 심장활동 신호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활동 신호 측정을 위하여 전극의 크기와 구성방식을 조작한 6종의 접촉식 직물전극을 컴퓨터 자수 방식으로 구현하였고, 이를 가슴밴드에 부착하여 응용형 리드 II(modified Lead II) 방식으로 심장활동 신호를 검출하였다. 건강한 신체의 남성 4명을 대상으로 서서 정지한 자세에서 각 직물전극을 사용하여 심장활동 신호를 검출하였으며, 모든 유형의 전극에 걸쳐 4회씩 반복측정 하였다. 심장활동 신호의 수집을 위해 BIOPAC ECG100 장비를 사용하여 1 ㎑로 샘플링하였으며, 검출된 원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하였다. 직물전극의 구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신호의 파형과 크기를 파라미터로 하여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전극을 통하여 획득된 심장활동 신호의 SPR(signal power ratio)을 산출함으로써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출된 SPR 값을 대상으로 하여 비모수 통계분석 방식의 차이검정과 사후검정을 실시함으로써 6개 전극의 구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 차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조에 따라 심장활동 신호의 품질에는 정성적, 정량적 측면에 걸쳐 모두 주요한 차이가 있는 것이 고찰되었다.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성 측면에 있어서는 입체전극이 평면전극에 비해 더 우수한 품질의 신호가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가지 전극 크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유의한 성능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심장활동 신호 획득을 위한 접촉식 직물전극 구조의 두 가지 요건 중 구성방식(평면/입체)이 웨어러블 헬스케어를 위한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직물전극이 일체형으로 통합된 의복형 플랫폼을 구현하고 성능 고도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시공간의 제약 없이 고품질의 심장활동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의류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act type textile electrode structure on heart activity signal acquisition for smart healthcare. In this study, we devised six contact type textile electrodes whose electrode size and configuration were manipulated for measuring heart activity signals using computerized embroidery. We detected heart activity signals using a modified lead II and by attaching each textile electrode to the chest band in four healthy male subjects in a standing static posture. We measured the signals four times repeatedly for all types of electrodes. The heart activity signals were sampled at 1 ㎑ using a BIOPAC ECG100, and the detected original signals were filtered through a band-pass filt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heart activity signal acquisition among the different structures of the textile electrodes, we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using signal waveform and size as parameters. In addition, we performed a quantitative analysis by calculating signal power ratio (SPR) of the heart activity signals obtained through each electrode. We analyzed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heart activity signal acquisition of the six electrodes by performing difference and post-hoc tests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 methods on the calculated SPR.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n term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of heart activity signals among the tested contact type textile electrodes. Regard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contact type textile electrodes, the three-dimensionally inflated electrode (3DIE) was found to obtain better quality signals than the flat electrode. However, regarding the electrode siz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formance of heart signal acquisition for the three electrode siz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figuration method (flat/3DIE), which is one of the two requirements of a contact type textile electrode structure for heart activity signal acquisition, has a critical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heart activity signal acquisition for wearable health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lan to develop a smart clothing technology that can monitor high-quality heart activity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by implementing a clothing platform integrated with the textile electrode and developing a performance improvement plan.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심장활동 신호
  2.2. 웨어러블 심장활동 신호 센싱 기술의 연구개발 동향
  2.3. 직물전극의 위치, 형상, 플랫폼 구조가 웨어러블심장활동 신호 센싱에 미치는 영향
 3. 연구방법 및 절차
  3.1. 직물전극의 구현
  3.2. 심장활동 신호 검출 실험
  3.3.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4.1. 정성적 비교 분석 결과
  4.2. 정량적 분석 결과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조현승(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BK21Plus 사업단) | Hyun-Seung Cho (Clothing & Textiles BK21Plus, Yonsei University)
  • 구혜란(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BK21Plus 사업단) | Hye-Ran Koo (Clothing & Textiles BK21Plus, Yonsei University)
  • 양진희(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 Jin-Hee Yang (Institute of Symbiotic Life-TECH, Yonsei University)
  • 이강후(건국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의학공학과) | 이강휘
  • 김상민(건국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의학공학과) | Sang-Min Kim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 이정환(건국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의학공학과) | Jeong-Hwan Lee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 곽휘권(한화시스템㈜) | Hwy-Kuen Kwak (Hanwha Systems)
  • 고윤수(한화시스템㈜) | Yun-Su Ko (Hanwha Systems)
  • 오윤중(국방과학연구소) | Yun-Jung Oh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 박서연(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Su-Youn Park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 김신혜(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Sin-Hye Kim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 이주현(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Joo-Hyeon Lee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