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LED 조명의 조도와 과제난이도가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LED Illuminance and Task Difficulty on Long-term Mem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2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LED 조명의 조도와 과제 난이도가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도는 400 lx와 1,000 lx 조건으로 처치하였으며, 과제 난이도는 4단어 학습(쉬운 과제)과 7단어 학습(어려운 과제)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학습한 과제의 기억률을 종속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참가자는 총 64명이며, 각 조건 당 16명의 참가자가 할당되었다. 연구결과 상대적으로 어두운 400 lx 조건이 68.49%로 1,000 lx 조건의 56.03% 보다 기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쉬운 과제 조건이 67.97%의 기억률을 보여 56.55%의 어려운 과제에 비해 기억률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도와 과제 난이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조건에서 장기기억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재검증하였고, 아울러 장기기억은 요커스-도드슨 법칙을 따르지 않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탐색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ED illumination and task difficulty on a person's long-term memory. Illumination levels of 400 lx and 1,000 lx were employed in this study, and task difficulty was set at learning 4 words (easy task) and 7 words (difficult task). The person's retention rate of the learned task was designated as a dependent variable. A total of 64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16 participants assigned to each of the four sets of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tention rate for the difficult task under relatively dark 400 lx conditions was 68.49%, while and the retention rate was higher than 56.03% for 1,000 lx conditions. In addition, for the easy task, the retention rate was 67.97% and 56.55% for the 400 1x and the 1,000 1x conditions, respectively.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illumination and task difficul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results further suggested that long-term memory can be effective in relatively dark conditions and indirectly suggests that long-term memory may not follow the Yokers-Dodson law.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연구방법
  2.1. 실험설계
  2.2. 실험절차
  2.3. 조명환경
  2.4. 측정도구
  2.5. 실험대상
 3. 연구결과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이충원(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Chung-Won Lee (Department of Industrial & Systems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진호(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Jin-Ho Kim (Department of Industrial & Systems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