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천 연안역의 수온 및 염분의 계절 변화 KCI 등재

Season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Incheon Coastal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6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환경과학회지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한국환경과학회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초록

국립수산진흥원의 한국 연안 어장환경 오염조사 결과 보고서를 사용하여, 인천 연안역의 수온 및 염분의 계절변화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수온의 연변화는 인천항과 소래에 이르는 조간대 해역이 만의 바깥쪽 해역보다도 수온의 연평균이 높고, 진폭도 크며, 위상도 빨랐다. 염분의 연변화는 인천항과 소래에 이르는 조간대 해역이만의 바깥쪽 해역보다도 연평균은 낮고, 진폭은 크며, 위상은 느리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T-S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수괴의 계절 변화에서도 뚜렷하게 볼 수 있었다. 즉, 인천 연안역의 수괴는 수온과 염분의 연교차가 큰 인천과 소래에 이르는 조간대 해역과 염분 변동에 영향을 주는 강수나 증발, 담수 유입의 계절적 변화에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는 만의 바깥쪽 해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얕은 수심과 강한 조류로 인하여 수층이 연중 거의 혼합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The seasonal data obtained a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from 1989 to 1994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Incheon coastal area.
In the tidal flats covering from Incheon harbor to Sorae, the mean temperatures are higher, the amplitudes of temperatures are larger, and the phases of temperatures are faster than those of outer tidal flats. In the tidal flats, the mean salinities are lower, its amplitudes are larger, and its phases are later than those of outer tidal flats.
These suggest that Incheon coastal area may be divided into two areas: the tidal flats from Incheon harbor to Sorae, which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seasonal variation of solar heating, precipitation and evaporation and the outer tidal flats, which is slightly influenced by the effects of seasonal variation of salinity.

저자
  • 최용규(서해수산연구소 군산분소) | Yong Kyu Choi
  • 신문섭(군산대 토목공학과) | Moon Seub Shin
  • 이병걸(제주대 해양토목공학과) | Byung Gul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