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남 보령시 외연도 앞바다에서 형망으로 채집된 갈색띠매물고둥(Neptunea(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을 대상으로 번식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식소지수, 비만도지수, 생식주기, 군성숙도 및 성비를 조사하였다. 산란기를 간접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조사한 생식소지수(GI)의 변화는 생식소 발달 단계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생식소지수(GI)는 암, 수 모두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4월에 최대값
        2.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강하구둑 축조 전 후의 조석변화를 알기위하여 금강하구의 조류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구둑 축조 후에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연도별 해도자료를 이용하여 구간별 수심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 북측도류제 사이의 수로에서는 세굴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군산외항에서 하구둑까지의 수로에서는 퇴적이 발생하였다. 조석변화는 건설과 준설, 금강하구둑의 수문닫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수심변화는 금강하구둑 건설과
        3.
        200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안매립이 해양의 동수력학, 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동수력학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방조제 건설에 따른 조석, 바람 및 밀도변화 성분을 포함한 조류와 잔차류의 변화를 수치모의 하였다. -좌표로 변환된 지배방정식은 음해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수치모형은 조석의 4대 주요 구성성분인 M, S, 및 의 조석표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수치해석결과, 주로 조석 및 바람에 의한 잔차류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
        4.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의파고별, 지오 튜브의 채움비, 지오 튜브 천단고의 변화에 따라 지오 튜브의 안정 및 소파성능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축척은 1/50로 하여 조파 수로내에 모형을 설치하였다. 안정성 시험은 유의파고를 재현하여 지오 튜브의 변위를 계측하여 검토하였다. 지오 튜브의 각 부분의 변위량을 관찰하기 위하여 바닥에 메쉬를 설치하여 계측하였으며 지오 튜브 상부에 기준선을 표시하고 10cm 간격으로 초기 위치점을 설정하여 계측하였다. 소파성능은 지
        5.
        200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만금간척지역은 동경 와 북위 위치하고 있다. 새만금간척지역은 대조차가 5.6m 이고 최대 조유속은 이다. 조간대 침전물의 대부분은 금강, 만경, 동진강으로부터 유입되고 있다. 이 지역의 저질은 실트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동절기의 바람은 북서풍이 우세하다. 새만금간척면적은 40,100ha 이고 방조제의 길이는 33km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 진단모델과 예보모델에 의하여 간척전 후의 잔차류의 계절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6.
        200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수산진흥원의 한국 연안 어장환경 오염조사 결과 보고서를 사용하여, 인천 연안역의 수온 및 염분의 계절변화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수온의 연변화는 인천항과 소래에 이르는 조간대 해역이 만의 바깥쪽 해역보다도 수온의 연평균이 높고, 진폭도 크며, 위상도 빨랐다. 염분의 연변화는 인천항과 소래에 이르는 조간대 해역이만의 바깥쪽 해역보다도 연평균은 낮고, 진폭은 크며, 위상은 느리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T-S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수괴의 계절 변화에서도 뚜렷하게 볼 수 있었다. 즉, 인천 연안역의 수괴는 수온과 염분의 연교차가 큰 인천과 소래에 이르는 조간대 해역과 염분 변동에 영향을 주는 강수나 증발, 담수 유입의 계절적 변화에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는 만의 바깥쪽 해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얕은 수심과 강한 조류로 인하여 수층이 연중 거의 혼합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