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내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환경특성이 다른 세지점의 갯벌을 대상으로 분해능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갯벌의 입도조성은 육상기원 퇴적물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갯벌이 하제갯벌보다 전체적으로 입도조성이 작았다.
갯벌의 유기물 분해능력은 초기에는 아주 느리게 일어났으며, 유기물 분해율은 동진강 하구갯벌에서 87.63%, 만경강 하구갯벌에서 86.36%, 하제갯벌에서 85.88%로 나타났고, 시험수 자체의 유기물 분해율은 27.5∼30%로 나타났다.
유기물 분해속도(K')는 동진강 갯벌이 1.364day-1, 만경강갯벌이1.080day-1, 하제갯벌이 0.735day-1로 나타나, 축산폐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진강 하구 갯벌에서 높은 유기물 분해속도상수를 나타냈다.
해수중에서의 유기물 분해량을 뺀 순수한 갯벌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량은 동진강 하구갯벌이 0.4㎎/g/day, 만경강 하구갯벌이 0.36㎎/g/day 및 하제갯벌이 0.36㎎/g/day로써 평균 0.37㎎/g/day이었다.
단위면적당 유기물 분해량을 계산하기 위해 1ha당 표층 0.1㎝ 에서만 미생물이 작용하고, 갯벌의 비중을 2.5g/㎤으로 가정하여 1ha당 유기물 제거능력을 산출한 결과 9.25㎏/ha로 추정되었다.
갯벌의 유기물 분해속도는 유기물 함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IL, CODsed, TC와 높은 양의 상관성(R2=0.97∼1.00)을 보였고, 물리적인 특성인 입도와는 입도조성이 작을수록 분해속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ecomposition capacity for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s (Hajae, Dongjin and Mankyung). The decomposition rate constants (K') have been determined by Thomas slope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values of each tidal flats. The decomposition rates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were initially very slow, but at the end of 12 hours, very sharply increased. The values of decomposition rate constant for Dongjin, Mankyung and Hajae tidal flat sediment were 1.364day-1, 1.080day-1 and 0.735day-1, respectively. The decomposition rate constant of Dongjin tidal flat sediment which affected by livestock wastewater was higher than others. The decomposition quantity (mg/g/day)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s were 0.4㎎/g/day for Dongjin, 0.36㎎/g/day for Mankyung and 0.36㎎/g/day for Hajae.
The average of decomposition quantity was 0.37㎎/g/day. To calculate purification capacity (㎏/ha)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we applied to two assumption ; 1) biological action by microbe is occur within 0.l㎝ under surface 2) specific gravity of sediment are 2.5g/㎤.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 was calculated to 9.25kg/ha. The relationships between decomposition rate constant (K1) and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by sediment (CODsed), total carbon (TC), silt and clay as index of organic matter were a high positive (R2=0.97∼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