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박의 기관실에서의 연기 검출을 위한 LBP-GLCM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Smoke Detection using LBP and GLCM in Engine Roo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0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선박의 기관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화재 검출기는 연기나 열이 검출기에 도달해야 하지만 기관실의 공기 흐름은 기기의 사용유무에 따라 매우 유동적이기 때문에 상부에 설치된 검출기에 도달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근래에는 영상을 기반으로 화재를 검지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영상기반의 연기 검지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송속도가 빠르 기 때문에 화재의 초기 검지에 효율적이다. 본 연구는 기관실에서 연기 발생기로 발생시킨 연기의 확산모습을 녹화한 영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기의 질감특징을 추출하는 LBP와 GLCM연산자를 사용하여 생성된 학습 데이터를 기계학습 분류기인 SVM으로 학습한 후 분류하여 검출 성능을 평가함으로서 연기가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기까지 상승하지 않더라도 영상기반으로 먼저 검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fire detectors used in the engine rooms of ships offer only a slow response to emergencies because smoke or heat must reach detectors installed on ceilings, but the air flow in engine rooms can be very fluid depending on the use of equipme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much research on video-based fire detection has been conducted in recent years. Video-based fire detection is effective for initial detection of fire because it is not affected by air flow and transmission speed is fast. In this paper,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images of smoke from a smoke generator in an engine room. Data generated using LBP and GLCM operators that extract the textural features of smoke was classified using SVM, which is a machine learning classifier. Even if smoke did not rise to the ceiling, where detectors were installed, smoke detection was confirmed using the image-based techniqu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기 검출 방법
  2.1 전처리
  2.2 후보영역 선정
  2.3 특징 추출
  2.4 연기 분류
 3. 실 험
  3.1 실험환경
  3.2 데이터 학습
  3.3 분류결과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경민(목포해양대학교 기관·해양경찰학부) | Kyung-Min Park (Division of Marine engineering & Coast guard,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