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Social Awareness of Optometrists in Korea KCI 등재

국내 안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조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2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안경사 직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안경사의 위상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일반인 172명과 안경사 70명을 대상으로 하여 안경사의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였다. 사회적 인식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각 항목별로 질문지를 분류하여 세부항목을 만든 후 온라인 설문지(Goggle)를 통해 배포하였다.
결과 : 일반인 172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분포는 남자 73명(42.4%), 여자 99명(57.6%)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 22명(12.8%) 30대 42명(24.4%) 40대 37명(21.5%) 50대 이상 70명(40.7%)이었고, 그들의 학력은 고졸 37명(21.5%) 대졸 99명(57.6%) 대학원이상 36명(20.9%)의 분포를 이루고 있었다. 안경사 70명의 응답분포는 남자 43명(61.4%), 여자 27명(38.6%)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12.8%) 30대(24.4%) 40대(21.5%) 50대 이상 (40.7%)이었고, 그들의 학력은 고졸 9명(21.5%) 대졸 56명(57.6%) 대학원이상 5명(20.9%)의 분포를 이루고 있었다. 안경사의 주요업무에 대한 질문에서 일반인과 안경사 두 그룹 모두 시력보건 전문 의료기사로서의 업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안경 및 콘택트렌즈 판매원으로서의 업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이었다. 일반인이 안경사의 주요업무를 시력보건 전문 의료기사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시력검사 필요성을 느낄 때는 안경원방문(36.0%)보다 안과방문(61.6%)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이 안경원을 방문 했을 때 방문자의 대부분은 처방에 만족(78.5%)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불만족(14.0%)을 느낀 고객들의 불만족 사항은 검안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48.2%), 고객응대(14.1%)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경사를 대상으로 전문 안경사가 되기 위한 요건으로 무엇이 필요한지 알아 본 결과 굴절검사에 관한 전문지식과 양안시검사에 관한 전문지식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일반인이 불만족을 느끼는 부분과 안경사가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안경사가 국가고시를 통과한 전문가임을 알고 있는지 조사 한 결과 일반인 172명 중 33.7%의 응답자가 안경사 국가고시 시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또한 응 답한 일반인들의 절반이상인 50.6%가 안과에서 근무하는 시력 검사자가 안경사임을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안경사에 대한 일반인의 사회적 인식을 알아 본 결과 응답자의 45.9%가 안경사를 시력 보건 전문 의료 기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안경 및 콘택트렌즈 판매사(41.3%)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높게 나타났다. 일반인과 안경사 모두 안경사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굴절검사나 양안시검사에 있어서 지식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고시 시험을 통해 양성된 전문 안경사가 단순 판매사가 아닌 전문가로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경사 스스로의 노력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지원 또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awareness of optometrists. By raising the social awareness of the optometrists, We intend to establish basic data that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public eye health for strengthening the status of optometrists.
Methods : The subjects of 172 normal people and 70 optometrists were participated. It assumed that the social awareness was consider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Thus, the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by each category, and the detailed items were made and distributed using Goggle online questionnaire.
Results : The distribution of the people according to gender was 73 males(42.4%) and 99 females(57.6%). The age groups of respondents were shown 20s(12.8%), 30s(24.4%), 40s(21.5%), 50 or more(40.7%). The educational levels of high school graduates(21.5%), college graduates(57.6%) and graduate schools(20.9%) were distributed. When asked about the main tasks of optometrists, both ordinary people and optometrists thought that optometrists were the experts in vision healthcare, followed by the glasses and contact lens salesman. Most of optometrists’ main tasks were thought to be specialists in vision healthcare, but when they felt the necessity of vision screening, eye clinic visit(61.6%) were higher than optical shop visit(36.0%). Most of the optical shop’s custom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prescription(78.5%). The dissatisfaction of customers who felt unsatisfied(14.0%) was the lack of refractive test expertise(48.2%) and customer response(14.1%) in order. As a result of this survey, optometrists responded that they need the expert knowledge of refraction examination and of binocular vision examination to become a professional optometrist. In the questionnaire to the normals on whether the optometrist is an experts who passed national examination as a professional optometrist, 33.7% of the ordinary people did not realize that optometrists acquire a national’s license. In addition, 50.6% of those said that they did not know that the people working in eye clinics were optometrists.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e social awareness on optometrists in Korea, most people think that the main job of optometrists is vision care.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respondents who think that they are glasses and contact lens sellers(41.3%) was also high. Both normal people and optometrists felt that optometrists need a supplement of knowledge on refractive examination and binocular vision test as an expert. In order to increase the status of professional optometrists who have been trained under the national examin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by themselves,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also needed.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Ⅲ. 결과 및 고찰
  1. 안경사의 주요업무 인식
  2. 안경사가 누리는 경제적 위치 인식
  3. 안경사 국가고시 존재 유무 인식
  4. 시력검사 필요성 느낄 때 방문 장소
  5. 안과 근무 시력검사자
  6. 안경원 방문시 고객 만족도 조사
  7. 안경사 직업 만족도 조사
  8. 전문안경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사항
 Ⅳ.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Yeon-Kyoung Cho(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 조연경
  • In-Chul Jeon(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 전인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