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음악학 전문학술지로 본 음악이론의 연구경향(2006-2015) KCI 등재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Western Music Theory and Analysis in Korean Journal of Musicology, 2006-201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2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8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인 『음악과 민족』, 『음악과 문화』, 『서양음악학』, 『음악논단』, 『음악이론연구』, 『이화음악논집』, 『音.樂.學』, 『음악이론포럼』 등 8개 국내 음악학 전문학술지를 대상으로, 음악이론의 연구경향(2006-2015)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음악이론 논문들의 간행시기별 빈도 분석, 연구주제 영역 분석, 연구방법 분석, 학술지별 특징 분석 등을 통해,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비중, 연구의 주요 흐름, 주된 연구방법 등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의미 있는 추이들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8개의 음악학 전문학술지에서 음악이론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4.8%으로, 각 학술지 별로, 33.3%(『음악이론포럼』)에서 2.3%(『음악과 민족』)에 해당했다. 둘째, 음악이론 논 문은 각 학술지 별로 28.4%(『서양음악학』)에서 2.8%(『음악과 문화』)을 보유했다. 셋째, 지난 10년간, 음악이론의 게재 비중은 18.9%(2011년)에서 11.1%(2013년)을 보였다. 넷째, 음악이론 연 구의 주제 영역을 음악이론사적 배경에 따라 13개 분야로 구분했을 때, “음악의 의미·내러티브이 론”(17.0%)을 필두로 4개 영역에 60.2%의 연구가 집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음악이론의 연구방법 을 분석적, 이론적, 교수법적 고찰로 분류하였을 때, 71.0%가 분석적 고찰을 따랐다. 여섯째, 음악 이론가 3명의 연구가 전체 음악이론 연구의 23.3%를 차지했다. 일곱째, 음악이론 연구의 95.5%가 단독연구로서 진행되었다. 여덟째, 음악이론 연구의 13.1%는 연구비 지원에 따른 결과물로, 연구자 들은 『서양음악학』(30.4%)과 『음악이론연구』(30.4%)에서의 게재를 선호하였다. 음악이론의 연구경향에 관한 고찰은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학문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총체적인 변화를 깊이 있게 조망하기 위한 방법이 되며, 나아가 학문의 발전적 측면에 대한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국내에서 음악이론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학문적으로 연구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는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가, 음악이론에 대한 교육의 현장이나 연구영역에 있어, 우리나라 음악이론 전공자들 및 음악이론가들에게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제공해주길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2006-2015) of music theories in eight Korean journals specializing in musicology that were registered at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hich include Music and Korea, Music and Culture,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Journal of Science and Research of Music, Ewha Music Research, Journal of Music and Theory,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Music Theory Forum. The study thus examined meaningful progress in the research of music theories in the nation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publication frequency of music theory papers in the nation, research topics and areas, methodologies, characteristics by the journals, percentage of music theories in musicology, major research flows, and principal methodolog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usic theory researches accounted for 14.8% in the eight expert musicology journals with the scope of 33.3% (Music Theory Forum)~2.3% (Music and Korea) among the journals. Second, music theory papers accounted from 2.8% (Music and Culture ) to 28.4%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in the journals. Third, the publication percentage of music theories was in the range of 18.9% (2011)~11.1% (2013) for the last ten years. Fourth, the topic areas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divided into 13 according to the backgrounds in the history of music theories, and the findings show that 60.2% of the researches were concentrated on four areas led by musical meaning·narrative theory (17.0%). Fifth, 71.0% of the researches followed an analytical consideration when the methodologies of music theories were categorized into analytical, theoretic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Sixth, researches done by three music theorists accounted for 23.3% of the entire music theory researches. Seventh, 95.5%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carried out as independent researches. Finally, 13.1%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attributed to research funds with researchers preferring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30.4%) and Journal of Music and Theory (30.4%) to publish their papers. An examination of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usic theories not only serves as a means to figure out the academic status of music theories in musicology, but also helps to understand overall changes to music theory researches in the nation profoundly. Furthermore, it allows researcher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science. In South Korea, it was only years ago that they star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ic theories and investigate them academicall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hold their significance in that they offer “basic data” to propose a new research direction to music theory majors and music theorists in the n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area of research regarding music theories.

목차
1. 들어가면서
 2. 연구경향에 관한 예비적 고찰
 3. 연구의 설계와 방법
  3.1. 연구대상
   1) 1차 연구대상
   2) 2차 연구대상
  3.2. 연구방법 및 분류의 준거기준
  3.3. 연구의 제한점
 4. 연구결과 및 분석
  4.1. 연도별 분석
  4.2. 연구주제 영역별 분석
  4.3. 연구방법별 분석
  4.4. 학술지별 분석
   1) 『음악과 민족』
   2) 『음악과 문화』
   3) 『서양음악학』
   4) 『음악논단』
   5) 『이화음악논집』
   6) 『음악이론연구』
   7) 『音·樂·學』
   8) 『음악이론포럼』
   9) 학술지별 분석의 종합
 5. 분석후기
  5.1. 분석결과
  5.2. 진단
 6. 나가면서
 참고문헌
저자
  • 최원선 | Won Sun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