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반유대주의와 《요한수난곡》의 군중합창 - 요한과 루터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nti-Judaism and the Turba Choruses in John Passion: Re-reading John and Luth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2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이 글은 반유대주의와 《요한수난곡》의 관계를 이 음악작품에 등장하는 군중합창의 역할과 신학적, 음악적 의미를 통해 조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별히 이 작품의 가사가 되는 수난내러티브에 주목하여, 이 안에서 요한복음서의 기자는 ‘유대인들’이라는 용어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였는지 논의한다. 또한, 이 글은 이러한 논의를 확장시켜, 개혁가 루터는 ‘유대인들’을 어떤 방식으로 기술하였는지, 또는 이해하였는지 살핀다. 요한과 루터의 독해를 통해 ‘유대인들’이라는 표현이 유동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그리고 이것의 신학적 해석이 모호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해 나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 글은 바흐의 음악작품, 《요한수난곡》의 핵심구조를 살피고, 이 안에서 군중합창이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함으로 이 작품과 반유대주의와의 관계를 조명해나간다.

This study explores the notion, anti-Judaism and its relation to J. S. Bach’s John Passion. In order to examine if the notion is portrayed in the composition, this study reviews the passion narrative found John’s Gospel,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of the Jews and its use and function within the Gospel.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Luther’s writings to see his definition of the Jews. After re-reading those theological literatures, I will point out that the meaning of the Jews found in those writings can be said to be ambiguous and equivocal, arguing that it is less likely that the John’s Gospel and Luther’s writings capture the notion of anti-Judaism, emphasizing that Bach’s composition does not seem to embody the notion in his composition either.

목차
1. 들어가면서
 2. 《요한수난곡》과 군중합창 그리고 요한과 루터의 유대인들
 3. 《요한수난곡》과 군중합창 그리고 바흐
 4.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
  • 이가영 | Kayou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