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샤타(Juan Chattah)의 의미 분석모델을 통한 영화 『암살』 다시보기 - 드보르작의 ‘유머레스크’, ‘신세계’, 슈만의 ‘트로이메라이’가 사용된 장면들을 중심으로 - KCI 등재

Revisiting a Korean Film Assassination through Juan Chattah’s Metaphoric Models: Focusing on Scenes Adopting Dvorak’s Humoresque and New World and Schumann’s Traumere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2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본 논문은 이미 존재하는 클래식음악이 영화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장면에서 관객이 경험하게 되는 의미 생성의 과정을 탐구한다. 이미 잘 알려진 음악이 사용된 장면에서 관객은 음악의 내적 요소들에 의존하기보다는 기존 음악에 대한 외적 정보와 이전 청취경험에 기대어 영상과 내러티브, 음악이 어우러져 생성하는 의미를 판단하게 된다. 2015년 개봉되어 천만 관객을 동원한 『암살』은 잘 알려진 클래식음악을 활용하여 특정 장면이 갖는 내러티브적 기능을 극대화 한 주목할 만한 사례들을 갖고 있다. 『암살』에 사용된 드보르작의 ‘유머레스크’와 《신세계 교향곡》 중 제2악장 ‘라르고’, 슈만의 ‘트로이메라이’는 내러티브 전개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플롯을 강화하거나 때로는 아이러니를 자아낸다. 필자는 샤타(Juan Chattah)가 포코니에와 터너(Gilles Fauconnier and Mark Turner)의 ‘개념적 통합연결망’(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 CIN)에서 발전시킨 은유 모델을 영화음악 분석에 적용하여 영화와 음악의 외적 정보들 간 의미 변환에 대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의미 생성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드보르작과 슈만 악곡의 생성 배경과 수용 과정에서 나타난 담론 들을 탐구하고 이들이 영화의 특정 장면에 사용되어 촉발해낸 다양한 함의들에 대해 샤타의 ‘상징적 은유 모델’(symbolic metaphoric model)과 ‘아이러니 모델’(irony model)에 기대어 추적하였다. 음악에 의한 의미 강화와 아이러니 효과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친근하지 않은 개념을 익숙한 물리적 세계로 끌어와 사고하는 인간의 속성, 나아가 다중 매체에서 그러한 조응 관계를 인지적으로 연합하는 판단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할 근거를 마련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a process of generating meanings that audiences experience in specific scenes of a film in which the pre-existing classic music has been adopted as a source music. In such scenes, audiences tend to synthesize and judge suitability of the meanings from visual, narrative, and musical information, by relying not on introversive constituent elements, but rather on extra-musical connotations originated from extroversive informations and listening experiences. A Korean film Assassination has such noticeable examples where classic music pieces as a source music have reinforced the narrative function of the specific scenes. Dvořák’s Humoresque Op. 101/7, ninth symphony entitled From the New World, second movement and Schumann’s Traumerei from Kinderszenen Op.15/7 have been adopted either to intensify the plot of the film efficiently or to occasionally lead to an irony in the narrative trajectory. I attempted to apply Juan Chattah’s metaphoric model based on Gilles Fauconnier and Mark Turner’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 (CIN) to film music analysis and proposed analytic models designed for transvaluation of meanings between different media. I explored discourses about the genesis and reception history of Dvořák’s and Schumann’s pieces and generated diverse meanings in the selected scenes by depending on Chattah’s symbolic and irony models.

목차
1. 들어가면서
 2. 다층적 의미 생성을 위한 분석모델
  2.1. 상징적 은유와 아이러니 분석모델
  2.2. 샤타의 분석모델 이후
  2.3. 영화 『암살』의 분석모델
 3. 『암살』에서 의미 강화와 아이러니
  3.1. 드보르작 《신세계》 제2악장 ‘라르고’
  3.2. 드보르작 《유머레스크》
  3.3. 슈만 ‘트로이메라이’
 4. 나가면서
 참고문헌
저자
  • 안수환 | Soo Hwan 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