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Water shortage assessment by applying future climate change for boryeong dam using SWAT KCI 등재

SWAT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보령댐의 물부족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3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령댐 유역(163.6 km2)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기 후변화 시나리오와 다중회귀분석으로 산정한 미래 방류량을 활용하여 극한 기후변화 사상이 반영된 보령댐의 물부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보령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상자료, 보령댐 운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WAT 모형의 신뢰성 있는 유출량 보정을 위해 보령댐의 실 측 방류량을 이용하여 댐 운영모의를 고려하였고 유입량 및 방류량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의 보정(2007~2010)과 검증(2010~2016)을 실시하였다. 기후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APCC의 26개 CMIP5 GCM 자료 중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4.5와 RCP 8.5 시나리오를 SPI와 극한 가뭄지수로 분석하여 RCP 8.5 BCC-CSM1-1-M을 극한 가뭄 시나리오로 선정하였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일별 관측자료로 다중회귀분석하여 월별 방류량 추정식을 만들었고, 1월부터 12월까지 각 식들의 결정계수 R2는 0.57 이상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극한 가뭄 시나리오 기상자료를 방류량 추정식에 대입하여 미래기간 일별 방류량을 구축하였다. SWAT 수문평가 결과, S3 (2037~2046) 기간 봄철 저수량이 34.0%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uns 이론을 바탕으로 물부족의 심도를 구한 다음 재현기간에 따른 빈도해석을 하였다. 5~10년 빈도의 심 도로 발생하는 물부족이 미래기간에 발생하는 빈도로 보령댐의 물부족을 평가하였다. 물부족 평가 결과, S3 (2037~2046) 기간에서 5~10년 빈도의 심도를 가지는 물부족이 기준기간(2007~2016) 보다 2회 더 발생하였으며 S3 (2037~2046)에 물부족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In the study, the water shortage of Boryeong Dam watershed (163.6 km2) was evaluated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was used considering future dam release derived from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analysis. The SWAT was calibrated and verified by using daily observed dam inflow and storage for 12 years (2005 to 2016) with average Nash-Sutcliffe efficiency of 0.59 and 0.91 respectively. The monthly dam release by 12 years MLR show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above 0.57. Among the 27 RCP 4.5 scenarios and 26 RCP 8.5 scenarios of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the RCP 8.5 BCC-CSM1-1-M scenario was selected as future extreme drought scenario by analyzing SPI severity, duration, and the longest dry period. The scenario showed –23.6% change of yearly dam storage, and big changes of –34.0% and –24.1% for spring and winter dam storage during 2037~2047 period comparing with 2007~2016 period. Based on Runs theory of analyzing severity and magnitude, the future frequency of 5 to 10 years increased from 3 in 2007~2016 to 5 in 2037~2046 period. When considering the future shortened water shortage return period and the big decreases of winter and spring dam storage, a new dam operation rule from autumn is necessary for future possible water shortage condition.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대상지역
  2.2 SWAT 모형의 개요
  2.3 SWAT 모형 입력자료
   2.3.1 GIS자료 및 기상·수문자료
   2.3.2 미래 방류량
  2.4 기후변화 시나리오
   2.4.1 SPI
   2.4.2 극한 가뭄 시나리오
  2.5 보령댐의 물부족 평가
 3. 결과 및 고찰
  3.1 댐 운영을 고려한 SWAT모형의 검·보정
  3.2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미래 댐방류량 결과
  3.3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거동 변화 분석
  3.4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물부족 평가
 4. 요약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Kim Won Jin(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김원진
  • Jung Chung Gil(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정충길 Corresponding Author
  • Kim Jin Uk(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김진욱
  • Kim Seong Joon(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김성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