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water-efficiency in the non-agricultural sector, economic growth, electricity generation, and CO2 emission – evidence from Korea - KCI 등재

우리나라에서 비농업 부문의 물 효율성, 경제성장, 전력생산 및 CO2배출 간의 관계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3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1990-2014년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물 효율성, 경제성장, 전력생산 및 이산화탄소 배출 간의 장·단기 인과관계를 실증적 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경제성장, 이산화탄소 배출 및 전력 및 에너지에 국한되어 분석을 한 반면 본 연구는 기존 변수들과 더불어 물 효율성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는 기여를 가지고 있다. 실증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네 변수들은 단기조정관계를 통해 장기적으로 균형상태에 도달한다는 것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서 이산화탄소 배출과 경제성장은 물 효율성의 원인이 되고 이산화탄소 배출과 경제성장 및 물 효율성은 전력생산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물 효율성에 대한 장기 영향계수 추정결과를 통해 전력생산의 증가와 경제성장 및 이산화탄소 배출의 감소는 물 효율성을 증가시키며, 일정 수준 이상의 경제성장은 물 효율성의 증가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경제성장과 물 효율성의 역U자형 관계를 확인하였다.

We have examined dynamic relationships among water-efficiency, economic growth, electricity generation, and CO2 emissions in Korea using various time-series analysis methods for 1990-2014. While previous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economic growth, CO2 emissions, and electricity generation, this study contribu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variables and water-efficiency. We find that the four variables reach a balanced state in the long run through short-term adjustment, CO2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are responsible for water efficiency, and that CO2 emissions, economic growth and water efficiency are the causes of electricity generation. The long-term impact coefficient estimates on water-efficiency show that the increase in electricity generation and the decrease in CO2 emissions increase water-efficiency. Although economic growth has increased water-efficiency, moreover, we have identified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water-efficiency, which suggests that economic growth above a certain level reduces the rate of increase in water-efficiency.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분석방법
 3. 실증분석
  3.1 자료
  3.2 단위근과 공적분 검정
  3.3 장·단기 인과 및 영향관계 분석
 4.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Jung Yonghun(Department of Economics,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경제정책학과) | 정용훈
  • Lee Seong-Hoon(Department of Economics,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경제정책학과) | 이성훈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