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new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s of Jeju Island: Application to representative basins and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KCI 등재

제주도의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 대표 유역에 대한 적용 및 기존연구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31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2018)의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주도의 3개의 하천유역(중문천, 천미천, 한천)에 적용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적용의 결과로서 이들 세 유역의 CN 값이 산정되었으며, 이 값은 기존의 세 가지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제주도에서의 침투, 강우-유출 해석 등에 사용되는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선택된 방법론에 따라 수문학적 토양 군 분류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에 따른 제주도 대표 유역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결과를 비교한 결과, Lee et al.(2018)의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B군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Hu and Jung(1987)의 분 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C군과 D군이, Jung et al.(1995)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 A군과 C군, 마지막으로 RDA(2007)의 분류 방 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D군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결과와 비교된다. (2) Lee et al.(2018)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주도의 3개 대표 유역에 적용한 결과, 3개 유역 모두 기존 방법에 비해 가장 작은 CN 값이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3) 제주도에서의 강우-유출과 관련된 연구를 검토한 결과, 제주도 유역의 CN 값은 기존 방법에 의해 추정된 것에 비해 작을 가능성이 크고, 또한 초기 손실은 0.2S 이상의 큰 값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 proposed by Lee et al. (2018) with its application to three river basins (Jungmuncheon, Cheonmicheon, and Hancheon) in Jeju Island. The CN values are estimated as results of this application to these three basins, which is then compared with those estimated by applying the conventional three methods. Additionally,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soil groups of Jesu Island, such as the infiltration and rainfall-runoff analysis, are reviewed to evaluate how the resulting hydrological soil groups vary depending on the adopted classification method.. Summarizing the results is as follows. (1) Comparison result of the hydrological soil groups of Jeju Island with respect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shows that the soil group B is dominant in the application of Lee et al. (2018). However, it is hydrological soil groups C and D in the application of Hu and Jung (1987), hydrological soil groups A and C in the application of Jung et al. (1995), and hydrological soil group D in the application of RDA (2007). (2) In all the applications of Lee et al. (2018) to three selected river basins in Jeju Island, the CN valuse are found to be smaller than those by other conventional three methods.. Lastly, (3) The evaluatio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hydrological soil groups analysis in Jeju Island shows that the CN value in the Jeju Island may be smaller than those estimated by conventional three methods, also the initial loss higher than 0.2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대상 유역
 3. 대상 유역에 대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및 CN 값산정
  3.1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3.2 각 유역별 CN 값 산정 결과 비교
 4. 관련 연구 검토 및 시사점
  4.1 관련 연구 내용 요약
  4.2 관련 연구에서의 시사점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Kang Minseok(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강민석
  • Lee Youngju(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Korea Engineering Consultants Corp, (주)한국종합기술 수자원부) | 이영주
  • Park Changyeol(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Urban Planning, Jeju Research Institute, 제주연구원 환경도시연구부) | 박창열
  • Yoo Chulsang(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유철상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