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Usability Test on Haptic Interaction With Real Object in Virtual Reality KCI 등재

실제 사물을 이용한 VR 햅틱 인터랙션 사용성 테스트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3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최근 VR(Virtual Reality)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변기기 또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VR 환경에서 그 환경내의 사물과 인터랙션 할 수 있는 여러 인터페이스 장치와 룸 단위의 스캐닝을 통한 VR 환경 구성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VR의 동향을 보았을 때 가정에서의 VR 활용법은 여러 햅틱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VR 환경 내에 구성된 사물들과 인터랙션 하는 것이 많으며 룸 스캐닝을 이용한 방법으로 공간상의 제약을 어느 정도 벗어나기도 하며, 트레킹 장비를 이용하여 실제 사물들과의 인터랙션을 하기도 한다. 3D 프린터의 발전으로 상업용 3D 프린터와 가정용 3D 프린터의 보급이 활성화 되었으며, 3D 프린팅 업체 또는 가정에서 쉽게 3D 프린터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모형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위 두 가지를 고려하였을 때 VR 환경 에서 사람들이 쉽게 만들 수 있는 모형을 가지고 직접 인터랙션을 할 때 사람들이 느끼는 모형의 물체감과 VR 환경상에서 구성된 모형의 물체감 사이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껴진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3D 프린터로 제작한 사물을 VR 공간 내에 구현하고 실제로 구현된 그 사물과의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실제 사물과 인터랙션 할 때와 다른 일반 인터랙션 장비를 사용할 때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As people's interest in Virtual Reality has recently increased, peripherals have also made many progress. There is a lot of research being done from VR environment to VR configuration through scanning at room level with various interface devices that can interact with objects in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current VR research Home VR uses multiple haptic interfaces to interact with objects configured in the VR environment, the method uses room scanning to some extent is beyond the spatial constraints and may use tracking equipment to interact with real objects. And advances in 3D printers have enabled the distribution of commercial 3D printers and home 3D printers, and made it easy for 3D printers to create models of their choice at home or at home. Considering the above two factors, We think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a model's object that people feel when interacting directly with an easy-to-create model in a VR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implement objects produced by 3D printers in VR space and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using real objects and other general interaction equipment through user testing with those that are actually implemented.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Background knowledge and relatedresearch
  2.1 VR(Virtual Reality)
  2.2 Haptic Interaction
 3. Organization and Results of Experiment
  3.1 Experimental environment
  3.2 Game Scenario
  3.3 Experimental questionnaire
  3.4 Test results
 4. Conclu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
  • Jun Park(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Hong-ik University) | 박준 Correspondence to
  • Han Ul Yang(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Hong-ik University) | 양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