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전자의 ‘신뢰감’을 형성하는 자율주행자동차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구성요소 연구: 밀레니엄 세대와 뉴 실버세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n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Factors for ‘Trust’ Affordable Automated Vehicle’s User Interface: Towards a comparison of millennium and new silver gene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935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6.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는 운전자가 자율주행자동차로부터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구성요소의 추출에 그 목적이 있 다. 또한 추출된 디자인 구성요소의 지각이 밀레니엄 세대와 뉴 실버 세대 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신뢰 감을 2차 구성개념으로 정의하여 심성모형과 전문가/전문지식, 공통목적, 교육, 의인화, 피드백, 인과관계 정보, 그리고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8개의 1차 구성개념을 추출하였다. 이해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데이터(N=548)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결과, 심성모형과 전문지식, 공통목적, 의인화, 피드백, 인과관계/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6개의 1차 구성개념은 2차 구성개념인 신뢰감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뉴 실버세대에게는 의인화와 인과관계/에러정보가 밀레니엄 세대와 비교하여 신뢰감 형성에 보다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는 반면에, 밀레니엄 세대에게는 심성모형과 전문지식, 공통목적, 그리고 피드백이 신뢰감 형성에 보다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design factors that create trust in automated vehicle. The current work further examined whether the perception of design factors is moderated by two age-driven groups of millennium- and new silver generation. Our framework includes one second-order construct of ‘trust’ as well as eight first-order constructs of ‘mental model’, ‘expertise’, ‘common goal’, ‘training’, ‘anthropomorphism’, ‘feedback’, ‘causal information’ and ‘error information’. Result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survey data(N=548) revealed that nomological validity was established by identifying six first order constructs of ‘mental model’, ‘expertise’, ‘common goal’, ‘anthropomorphism’, ‘feedback’ and ‘causal information’. Furthermor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effects of anthropomorphism and causal/error information on the formation of trust in new silver generation are greater than those in millennium gener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mpacts of mental model, expertise, common goal, feedback on the trust formation in millennium generation are greater than that of new silver generation.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추후연구
 참고문헌
저자
  • 연현정(세종대학교 디자인학과) | Yeon Hyeon Jeoung
  • 김진성(세종대학교 디자인학과) | Kim Jin 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