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자기공명영상에서 View Sharing 기법을 이용한 TWIST-VIBE와 Independent-VIBE의 삼중동맥기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Triple Arterial Phase between TWIST-VIBE by View Sharing Technique and Independent-VIBE for Liver MR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81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간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역동적 영상의 view sharing 기법은 시간을 단축하며 적당한 동맥기영상을 얻을수 있지만 모든 phase로 데이터를 공유하기 때문에 호흡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motion artifact)를 많이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view sharing을 이용하지 않는 independent-VIBE와의 삼중동맥기 영상을 비교하여 independent-VIBE 기법의 유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본연구는 2017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간자기공명영상을 재검사한 환자 29명과 지원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장비는 Skyra Elf(3.0T)를 사용하였으며 32채널 spine 코일과 30채널 body 코일을 이용하여 간자기공명영상 역동적 조영증강에서 TWIST-VIBE와 independent-VIBE을 이용하여 검사한 환자를 비교 분석하여 재검사비율을 비교하였으며, 자원자 30명에게 간자기공명영상검사시 TWIST-VIBE와 independent-VIBE 시 3 phase로 나누어 총 18초 중 9초 호흡 정지 후 나머지는 숨을 쉬게 하여 영상에 임의의 움직임을 만들어 표준편차(SD), 변동계수(CoV), 영상의 질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재검사환자 29명 중 TWIST-VIBE 환자 24건(1.8%), independent-VIBE 환자 5건(0.5%)으로 3.6배의 차이가 나타 났으며 p=0.0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원자 30명을 대상으로 표준편차를 비교한 결과 TWIST-VIBE에서 각 phase는 15.58±4.24, 16.87±4.32, 19.91±5.35이며 independent-VIBE에서 8.09±2.49, 8.24±2.23, 8.68±2.55 이었다. 변동계수는 TWIST-VIBE에서 각 phase는 15.07±4.14, 15.92±3.43, 18.64±3.43이며 independent-VIBE 는 9.64±2.40, 9.93±2.23, 1057±3.11이었다. p<0.05로 시간 변화에 따른 각 phase 별 표준편차(SD), 변동계수(CoV) 변화치 및 각 집단별 phase의 표준편차(SD), 변동계수(CoV)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성적 평가에서 두 집단의 모든 phase에서 점수의 차이가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호흡이 일정치 못한 환자의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independent-VIBE를 이용하여 획득한 결과 view sharing을 이용한 TWIST-VIBE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을 비교하였을 때 independent-VIBE를 이용한 영상에서 움직임에 의한 인 공물(motion artifact)의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연구는 호흡이 불규칙한 환자의 삼중동맥기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으로 independent-VIBE 검사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In liver MRI, the view sharing technique of dynamic images can shorten the time and obtain the appropriate arterial phase, but it shares the data with all phases, which is sensitive to breathing movements, causing significant motion artifacts.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want to compare the images of the triple arterial phase with the independent-VIBE without view sharing to find out the validity of the independent-VIBE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This study was conducted on 29 patients who underwent liver MRI at our hospital and 30 volunteer applicants from January 2017 to January 2019. The MRI scanner used was Skyra Elf(3.0T) and 32 channel spine coil and 30 channel body coil were used to compare the resampling ratio by comparing patients examined using TWIST-VIBE and independent-VIBE in Liver MRI dynamic contrast enhancement. The 30 volunteers were tested for liver MRI, TWIST-VIBE and independent-VIBE were divided into 3 phases, where 9 seconds out of a total of 18 breathing is stopped, and with the remaining seconds, breathing technique was made to create motion of in the imag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D, CoV, and image quality.
Results:Among 29 resamples, 24 cases of TWIST-VIBE patients (1.8%) and 5 cases of independent-VIBE patients (0.5%) differed by 3.6 time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03. Comparison of SD among 30 volunteers resulted in 15.58±4.24, 16.87±4.32, 19.91±5.35 and 8.09±2.49 and 8.24±2.23, 8.68±2.55 at independent-VIBE. CoV had 15.07±4.14, 15.92±3.43, 18.64±3.43 and the independent-VIBE was 9.64±2.40; 9.93±2.23, 1057±3.11 at TWIST-VIBE. P<0.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D for each phase, CoV variation, and SD and CoV values of each phase for each group. The qualitative assess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all phases i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Liver MRI in patients with inconsistent breathing showed less effects of motion artifacts in images using independent-VIBE, when compared with images acquired with TWIST-VIBE using view sharing technique. In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e independent-VIBE test will be useful as a method of obtaining triple-arterial images of patients with irregular breathing.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검사 장비 및 조건
  2. 대상 환자 및 방법
  3. 영상의 비교 및 분석
  4. 통계학적 분석
 Ⅲ. 결 과
  1. 간자기공명영상검사환자의 재검사분포
  2. Independent-VIBE와 TWIST-VIBE의 재검사비율 비교
  3. Independent-VIBE와 TWIST-VIBE 각 phase당 표준편차(SD)의 비교와 변동계수(CoV)의 비교
  4. Independent-VIBE와 TWIST-VIBE 정성적 평가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장명선(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Myung-Sun Chang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건영(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Keon-Yeong Kim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동주(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Dong-Ju Kim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orresponding Author
  • 구홍욱(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Hong-Uk Ku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방용식(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Yong-Sik Bang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