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유 호흡으로 Liver 검사 시 T1 강조 Radial Percentage 변화에 따른 3D VANE XD 기법의 영상 비교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Image Comparison of 3D VANE XD Technique in T1 Weighted Images of Liver MRI with Free Breathing Technique as the Radial Percentage Parameter Chan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81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MRI를 이용한 liver 검사는 다른 검사보다 진단적 가치가 더욱 크기 때문에 중요시되며 검사 빈도수가 높은 검사 중 하나이다. 그러나 검사시간이 길고 지속해서 숨을 참아야 하거나 규칙적으로 호흡해야 한다. 이는 환자의 협조가 잘 되어야 진단가치가 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k-space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 Cartesian이 아닌 radial 방식은 기존과는 다르게 자유 호흡으로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을 적용한 3D VANE XD 기법은 SNR이 높은 3D 기법과 지방 소거가 뛰어난 mDIXON의 결합이 가능하다. 이에 motion artifact 정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parameter인 radial percentage의 변화에 따른 T1 강조 3D VANE XD 영상과 3D FFE 영상을 비교하여 시간 대비 효율적인 적정 값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자유 호흡으로 검사 시 시간 대비 움직임 인공물 및 기타 평가를 비교하기 위해서 3D FFE를 free breath와 breath hold로 얻은 영상과 3D VANE XD의 radial percentage 값을 100%, 200%, 300%, 400%, 500%로 변화시켜 얻은 영상을 비교하였고 나머지 parameter는 모두 같게 적용하였다. 사용 장비는 Philips medical system의 Ingenia CX 3.0T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body coil을 사용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혈관의 선예도, liver dome과 lower margin의 윤곽, 신호강도의 균일성, 움직임 인공물, streak artifact의 정도까지 총 다섯 가지였다. 건강한 지원자 10명을 대상으 로 1점에서 5점까지 척도로 5년 이상의 MRI 경력이 있는 전문방사선사 5명이 블라인드로 평가하였다.
결 과:Radial percentage를 높일수록 움직임 인공물이 점점 더 감소하였다. streak artifact도 마찬가지로 radial Percentage 를 증가시킬수록 감소하였다. vessel sharpness 평가에서는 radial percentage를 증가시킬수록 혈관의 모양이 더 잘 구별이 되며 선예도가 점점 더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나머지 항목보다 비례적으로 영상의 점수가 높았다. liver dome과 lower margin의 윤곽 평가에서는 BH를 제외한 300(%) 이후부터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homogeneity 정도에서는 퍼센트 값을 증가시킬수록 만족스러운 영상을 얻을 수 있었지만 300-400(%) 이상에서는 큰 차이 없었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해서 3D VANE XD 기법의 적절한 radial percentage는 300(%)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일정 수치 이상은 영상 획득 시간에 비해 영상품질에 큰 차이가 없어 효율적이지 않았다.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실제 임상에서 환자 상태나 검사시간에 따라 유동적으로 radial percentage를 조절한다면 효율적인 검사가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Liver examination with MRI is important because it has greater diagnostic value than other tests and is one of the more frequent examinations. However, the examination time is long and breathing is required to be constant or regular. This limits the ability to obtain images with good diagnostic value only when patient cooperation is good. A non-Cartesian radial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k-Space data enables examinations with free breathing differently. 3D VANE XD technique can be applied with mDIXON, a technique with high SNR and excellent fat suppression. Therefore, the difference in radial percentage, the parameter that most effects motion artifacts in T1 3D VANE XD and 3D FFE techniques were compared and optimal time versus efficiency value were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In order to compare time and effects it has on motion artifacts and other assessments during the examination with free breathing, 3D FFE images were obtained with free breathing and the images obtained by changing the radial percentage value of the 3D VANE XD parameters to 100%, 200%, 300%, 400%, 500%, and 500%, all of the remaining parameters were constant. The equipment used was Ingenia CX 3.0T of the Philips medical system, and the signal collection coil used was a body coil. The evaluation items included five things: the vanguard diagram of blood vessels, the outline of the liver dome and lower margains, uniformity of signal strength, motion artifacts and the degree of streak artifact. Five professional radiograp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MRI experience objectively evaluated 10 healthy volunteers on a scale of 1 to 5.
Results:The higher the radial percentage, the less motion artifacts appeared. Similarly, the gradual percentage was reduced as the radial percentage increased. The vessel sharpness assessment showed that the more radial percentage, the better the shape of the blood vessels and the higher the resolution of the images. In addition, the image values proportionally higher than the rest. In the outline assessment of the liver dome and lower marg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300(%) with breath hold. Finally, with regards to the degree of homogeneity, satisfactory images were obtained as percentage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300-400(%).
Conclusion: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appropriate radial percentage for 3D VANE XD techniques was over 300(%) However, it was not efficient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quality compared to image acquisition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it is concluded that if the values are adjusted flexibly while considering patient status or the examination time in actual clinical trials; in the future, an efficient examination can be conducted.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신훈열(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Hun-yeol Shin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Corresponding Author
  • 정재윤(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Jae-yoon Jeong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홍성우(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Seong-woo Hong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조성봉(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Seong-bong Jo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대창민(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Chang-min Dae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